추간판 탈출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5:09
본문
Download : 추간판 탈출증.hwp
척수공 외측으로 탈출하는 극외측성 수핵탈출증은 약 6-10%를 차지하며 허리의 통증
은 아주 경미하거나 없고 하지 방사통과 마비증상은 심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컴퓨터
촬영이나 심지어 자기공명검사에서도 탈출된 수핵과 추궁근의 신호가 유사하여 진단이 안될
수 있는데 대개 이학적 검사상에서는 뚜렸한 근약증과 감각저하를 보이고 근전도 검사상에
서도 심한 신경근 병증 소견을 보인다. 이때는 특히 탈출된 레벨 위의 신경이(제4-5요추간
판 탈출증일 때 제4요수 신경근)눌리는 특징이 있다
2) 탈출된 레벨에 따른 분류
추간판 탈출증의 병명에는 탈출된 레벨이 이용되는데 네 번째 요추와 다섯 번째 요추사이의
추간판에서 탈출이 일어 났다면 `제4-5요추간판탈출증`이라고 지단명을 붙인다.
중심성 수핵 탈출증은 하지 방사통이 아주 경미하거나 없어서 이학적 검사상 추간판탈출증
이 아닌 요추부 염좌로 진단되기가 쉬우나 컴퓨터 촬영이나 자기공명검사에서는 쉽게 진단
된다된다.
요추의 구조 및 운동성에 의하여 제4-5요추간과 제5요추-제1천추간에서 약 90-95%의 요추
간판 탈출증이 발생하고 나머지가 그 위에서 발생하는데 제1-2요추와 제2-3요추 사이에서
는 외상이 없이는 잘 발생하지 않고 중심성 탈출증인 경우 신경근이 아닌 척수를 압박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밀 검사를 실시하여 다른 원인(原因)에 의한 신경압박여부를 감별하는 …(생략(省略))
추간판 탈출증을 탈출된 위치에 따라 중심성수핵탈출증, 후방외측성 수핵탈출증, 외...
,의약보건,레포트
다.
추간판 뒤에 부착되어 있는 후방종인대의
해부학적 구조에 의하여 후방외측성 탈출이
가장 많고 추간판 탈출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요통과 하지 방사통을 보여 가장 쉽게 진단이
된다된다.






순서
1) 탈출된 위치에 따른 분류
Download : 추간판 탈출증.hwp( 36 )
추간판 탈출증의 분류1) 탈출된 위치에 따른 분류추간판 탈출증을 탈출된 위치에 따라 중심성수핵탈출증, 후방외측성 수핵탈출증, 외... , 추간판 탈출증의약보건레포트 ,
추간판 탈출증의 분류
레포트/의약보건
추간판 탈출증
설명
추간판 탈출증의 분류
1) 탈출된 위치에 따른 분류
추간판 탈출증을 탈출된 위치에 따라 중심성수핵탈출증, 후방외측성 수핵탈출증, 외측성 또
는 극외측성(far lateral)수핵탈출증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각각은 증상적인 특징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