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1:07
본문
Download : 포인터에 대한 개념.hwp
그리고 배열에없는 값인 9를 포인트 하기위해 pData3=9 라고 포인트하는 값을 직접적으로 지정해준다. 포인터의 크기를 출력하는 함수는 sizeof(변수)의 방법이다. 문제 4에서는 포인터에 연산기호를 써서 포인터를 활용하는 법을 배우고 문제 5,6에서는 포인터와 배열을 연관시켜본다. 포인터의 주소값은 포인터변수앞에 &을 붙이고, 값은 그대로 쓰고, 포인트 하는곳의 값은 앞에 을 붙이면된다 문제4는 포인터에 연산기호(+,-)를 사용하여 포인터를 활용해본다. 마지막으로 문제 7에서는 포인터와 malloc을 이용하여 동적 2차원 배열구조를 생성하고 접근후 동적할당된 메모리영역을 반환한다. 문제 1은 포인터의 기본적인 槪念에 관련된 문제, 문제2는 포인터의 타입에관한 문제이다.
2. 실험 내용
문제1 은 배열의 주소값과 포인터의 값과 주소값을 출력한다. 포인터의 type과 무관하게 크기는 정수이므로 %d를 이용한다. 먼저 pData1, pData2, pData3의 포인터변수를 선언하고 이들은 배열 data[6]={0,1,2,3,4,5}중 한 값을 포인트한다.
3. 구현
`문제1`
printf(` %x %x %x %x n`, &a[0], &a[1], &a[2], &a[3]) 로 각 배열의 값…(To be continued )
순서
포인터,개념,기타,실험결과
Download : 포인터에 대한 개념.hwp( 79 )
다.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포인터에 대한 개념 , 포인터에 대한 개념기타실험결과 , 포인터 개념
실험결과/기타
설명






1. 실험 목적
이번 실습에서는 포인터에 대한 槪念과 여러 용도의 사용법을 배운다. 그리고 문제3은 포인터를 어떤 식으로 사용하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연산기호를 이용하여 포인트하는 곳을 변경한다. ((mPointer+a)+b)에서 a=0이면 1행의 첫값, 1이면 2행의 첫 값에서 b만큼 다음값을 포인트하게된다 문제 6도 문제5와 비슷하지만 주어진 형식에 값을 대입하는 문제이다. 문제 5에서는 포인터의 가감방식을 이용하여 2x3 배열의 값을 하나씩출력한다. 문제 3에서는 포인터의 주소값, 값, 포인터가 포인트하는 곳의 값을 출력한다. 배열의 주소값을 출력할 때는 출력 할 변수앞에 &을 넣으면 된다 문제 2에서는 type별 포인터의 크기를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