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8-25 06:25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hwp
(ε 〓 흡광계수)
이 식을 이용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의 농도를 구할 수 있고, 이 값을 통하여 용액의 색을 예측해 볼 수 있따 즉, 용액 중에 존재하는 색 분자의 양을 예상 할 수 있을 것이다.
Download : [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hwp( 74 )
순서
자연과학,화학실험,물질,상태와,확인,메틸레드,변화,화학,실험결과
[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
실험결과/화학
[화학experiment(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change(변화)
experiment(실험) 목적
지시약을 사용하여 용액 중에서 분자의 상태를 밝혀 본다. 지시약은 그 자체가 약한 산성 또는 약한 염기성을 띠는 유기 화합물이며, 그 물질이 지시약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산성형과 그 짝염기형의 색깔이 달라야 한다. 이것을 합하여 Beer- Lambert law라고 한다. pH미터와 흡광분광광도계의 사용법을 익히고, 용액의 pH와 색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여, 용액 중에서 화학종과 pH, 색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이번실…(省略)
설명
[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
[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 , [자연과학] [화학실험보고서] 물질의 상태와 확인 - 메틸레드의 변화화학실험결과 , 자연과학 화학실험 물질 상태와 확인 메틸레드 변화
![[자연과학]%20[화학실험보고서]%20물질의%20상태와%20확인%20-%20메틸레드의%20변화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D%99%94%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EB%AC%BC%EC%A7%88%EC%9D%98%20%EC%83%81%ED%83%9C%EC%99%80%20%ED%99%95%EC%9D%B8%20-%20%EB%A9%94%ED%8B%B8%EB%A0%88%EB%93%9C%EC%9D%98%20%EB%B3%80%ED%99%94_hwp_01.gif)
![[자연과학]%20[화학실험보고서]%20물질의%20상태와%20확인%20-%20메틸레드의%20변화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D%99%94%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EB%AC%BC%EC%A7%88%EC%9D%98%20%EC%83%81%ED%83%9C%EC%99%80%20%ED%99%95%EC%9D%B8%20-%20%EB%A9%94%ED%8B%B8%EB%A0%88%EB%93%9C%EC%9D%98%20%EB%B3%80%ED%99%94_hwp_02.gif)
![[자연과학]%20[화학실험보고서]%20물질의%20상태와%20확인%20-%20메틸레드의%20변화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D%99%94%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EB%AC%BC%EC%A7%88%EC%9D%98%20%EC%83%81%ED%83%9C%EC%99%80%20%ED%99%95%EC%9D%B8%20-%20%EB%A9%94%ED%8B%B8%EB%A0%88%EB%93%9C%EC%9D%98%20%EB%B3%80%ED%99%94_hwp_03.gif)
![[자연과학]%20[화학실험보고서]%20물질의%20상태와%20확인%20-%20메틸레드의%20변화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D%99%94%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EB%AC%BC%EC%A7%88%EC%9D%98%20%EC%83%81%ED%83%9C%EC%99%80%20%ED%99%95%EC%9D%B8%20-%20%EB%A9%94%ED%8B%B8%EB%A0%88%EB%93%9C%EC%9D%98%20%EB%B3%80%ED%99%94_hwp_04.gif)
![[자연과학]%20[화학실험보고서]%20물질의%20상태와%20확인%20-%20메틸레드의%20변화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5B%ED%99%94%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EB%AC%BC%EC%A7%88%EC%9D%98%20%EC%83%81%ED%83%9C%EC%99%80%20%ED%99%95%EC%9D%B8%20-%20%EB%A9%94%ED%8B%B8%EB%A0%88%EB%93%9C%EC%9D%98%20%EB%B3%80%ED%99%94_hwp_05.gif)
다.
experiment(실험) 원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25 nm 와 520 nm에서 측정(measurement)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measurement)하여 각 화학종의 농도를 알아낼 수 있따
M425〓A425/(A425+A520)
M520〓A520/(A425+A520)
순수한 산성종 (HMR)
M1
M2
순수한 염기성종 (MR-)
M4
M4
산성종과 염기성종이 혼합된 용액에 대하여 각각의 흡광 스펙트럼을 얻은 후, 위 표에서와 같은 계산 방식을 이용하여 M425와 M520을 구한다.
Beer`s Low
A 〓 ε x b x c
흡광도(A)는 빛이 지나가는 시료의 두께(b)에 비례함을 Lambert가 발견하였고, 그 뒤 Beer는 흡광도가 빛이 지나가는 시료의 농도(c)에 비례함을 발견하였다.
지시약 - 지시약은 수용액의 pH에 따라 그 색깔이 변함으로써 중화 reaction 이 일어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물질이다. 이 data(資料)로부터 Beer의 법칙을 이용하여 전체에서 산성종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따
산성종의 비율1 〓 산성종의 비율2 〓
experiment(실험)이 제대로 진행 되었다면 위의 두 식에 의한 결과는 일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