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2 10:36
본문
Download :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hwp
그는 학습자들이 협동학습 집단에 참여하여, 문제 해결을 위해 배워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히고, 자기 주도 학습을 수행하며 새로운 지식을 문제 해결에 적용
지식과 정보의 전달과 암기식 학습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교육 방식은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거나 통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임상에서 요구되는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실제 환자의 事例를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과정으로 체계화시킨 것이다(Barrows, 1994). PBL모형은 구성주의 목표 및 방향과 일치하는 부분이 발견되면서(Savery & Duffy, 1995), 구성주의 수업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 제시되고 있다(Evensen & Hmelo, 2000).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
순서
다. .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Hmelo-Silver(2004)는 PBL을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복잡한 문제를 중심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하게 되는 교수 방법으로 기술했다.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이러한 PBL은 구성주의와는 별개로 의과대학의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식의 improvement을 위해 시도된 학습 방법이다. 이러한 기존 교육 環境(환경)의 부실성, 비현실성 등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PBL이 제시되었으며(Camp,1996), 다양한 분야의 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따
‘학습자 중심의 교육 環境(환경)’으로 불리는 PBL은 실생활의 문제 상황이 중심인 교육과정과 수업을 구조화한 교육적 접근으로,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서 비판적 사고 기능과 협동 기능을 신장하도록 하는 학습 형태이다(Sage,1996). PBL은 실세계의 문제 속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지도록 하기 때문에, 능동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도울 수 있따 따라서 PBL은 학습자가 전략(strategy)을 개발하게 하며 지식을 구성해 나가도록 돕는 두 가지의 강점을 가지게 된다,
Download :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hwp( 18 )
웹 기반 문제 중심 학습 (e-PBL - Problem-Based Learning)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의과대학에서 처음 된 PBL은 다양한 의학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MBA 호로그램들(Stinson & Milter, 1996), 예비교사 교육(Hmelo0-Silver, 2004) 등에서 활용되고 있따 국내에서도 초․중등 교육뿐만 아니라 대학교육에서도 활용되고 있다(강인애, 2003; 김경희, 2007;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 2004). PBL에 대한 관념적 definition 역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Torp과 Sage(2002)는 PBL을 매우 복잡한 실제 문제에 대한 조사와 해결을 중심으로 조직된 경험중심의 학습 방법으로 기술하였으며, PBL에서의 학습자를 문제의 핵심과 적절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조건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문제 해결자로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