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아동생활지도 출석수업대체시험 해결해야할문제물(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7 01:05
본문
Download : 20201출석대체_유아2_아동생활지도_공통.zip
아동은 아직 인성이 완전히 정립되기 전이므로 매우 change(변화)무쌍한 행동 양상을 보인다. Ⅱ. 본 론
1. 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기법에 대해 비교⋅분석하시오. 2. 담당하고 있는 반 유아, 혹은 관찰 가능한 유아 또래집단을 대상으로 고립, 무시, 배척 등에 해당하는 유아를 2명 선정하여 부적응 행동을 2가지(가상적으로) 판별하고, 이들의 행동양상 및 지도계획안을 제출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아동의 행동수정기법 2. 문제 아동의 행동양상 및 지도계획안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hwp 2.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hwp 3.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를 위한 기법.hwp 4.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hwp 5. 유아교육에 실제적 적용.hwp 6. 행동수정이론의 기본원리.hwp
1. 아동의 행동수정기법
3.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를 위한 기법.hwp
발생률이 높은 행동에 관한 차별 강화 방식이다. 정해 놓은 시간 내에 규정된 reaction response 빈도 이상으로 適應(적응) 행동이 나타났을 때 강화를 준다. 만약에 명시되지 않은 행동을 했을 경우는 適應(적응) 행동일지라도 그것은 염두 하지 않는다.
<< 함께 제공되는 참고資料 한글파일 >>
순서
1. 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기법에 대해 비교⋅analysis하시오.





Ⅰ. 서 론
II. 본 론
5. 유아교육에 실제적 적용.hwp
1)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
방송통신 > 출석대체시험
2.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hwp
6. 행동수정理論(이론)의 기본원리.hwp
- 중략 -
설명
Download : 20201출석대체_유아2_아동생활지도_공통.zip( 12 )
1. 아동의 행동수정기법
III. 결 론
2. 문제 아동의 행동양상 및 지도계획안
bibliography
- 목 차 -
2. 담당하고 있는 반 유아, 혹은 관찰 가능한 유아 또래집단을 대상으로 고립, 무시, 배척 등에 해당하는 유아를 2명 선정하여 부adaptation(적응) 행동을 2가지(가상적으로) 판별하고, 이들의 행동양상 및 지도계획안을 제출하시오.
(1) 강화 기법
2020년 1학기 아동생활지도 출석수업대체시험 해결해야할문제물(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우선은 미리 표적행동에 대한 대안적인 행동을 명시한다. 교사가 정해 놓은 시간 내에 특정 표적 행동이 일어나지 않으면 강화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정해진 표적행동에 대한 상반행동 차별강화와 부적절한 표적행동에 대응해서 신체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상반되는 행동만을 선택해서 강화한다. 이후에는 2명의 문제 아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양상을 分析한 후 지도계획안을 작성해 본다. 한편으로 이때에는 발생률이 낮은 행동에 대한 차별강화도 필요하다. 표적행동의 대안적 행동들에 대하여는 차별 강화한다. 이에 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기법에 대해 비교⋅分析한다.
아동생활지도,방통대아동생활지도,방송대아동생활지도,아동생활지도과제물,아동생활지도과제,아동생활지도출석수업대체
I. 서 론
4.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hwp
1.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hwp
다. 그들을 바르게 이끌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그른 행동을 통제하고 바른 행동을 이끌어 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후에 아동이 명시된 대안적 행동을 했을 때에는 강화를 준다. 소거될만한 부適應(적응) 행동이 교사가 정해 놓은 시간 내에 reaction response 빈도수보다 낮은 reaction response을 보일 때 강화를 주는 식이다. 표적행동과 그 외의 다른 행동에 대한 차별강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