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歷史)인식의 동질성 회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3:48
본문
Download : 역사인식의 동질성 회복.hwp
물론 마르크스도 새로운 사회단계로 진행하는 일정 시기에 있어서는 지배계급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두 층으로 분열된다고 말한 바 있으나, 북한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왜냐하면 유물론과 관념론이 동일한 지배계급 내의 입장일…(drop)
,인문사회,레포트
세번째로 검토할 대상은 북한의 역사(歷史)서술에 나타난 유물론의 성격규명이다.
고대에서는 음양오행 사상의 종교적·미신적 요소를 착취계급의 통치理論으로 원용한 반동적 귀족 노예소유 계급과 음양오행 사상의 유물론적 요소인 ‘기’concept(개념)을 받아들여 고유한 유물론적 철학체계를 만든 진보적 계급 간의 투쟁, 삼국시기에서는 불교·유교·도교를 둘러싼 보수적 집권귀족과 신흥귀족 계급의 대립, 고려시기는 불교와 주자학을 놓고 구세력을 대표하는 대토지 소유자와 신흥세력을 대표한 중·소토지 소유자와의 갈등, 이조에 와서는 14세기 말~15세기 초 불교의 주관관념론과 이를 반대하는 주자성리학의 객관관념론이 지배계급의 내부에서 정치투쟁과 관련하여 치열하게 전개된 후, 15세기 중엽부터 유교 내부에서 발생한 기일원론적 유물론과 주자성리학적 관념론과의 투쟁이 정면에 나서게 되었으며, 16세기에 이르러서는 유물론과 관념론과의 투쟁과 함께 주자성리학 내부의 유물론적 경향과 관념론적 경향 간의 투쟁이 이에 동반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즉 주자학의 외피 속에서 주자학 내부의 사상투쟁 형식을 통하여 관념론과 유물론의 투쟁이 수행되었다고 서술하고 있따
그런데 위의 대립양상을 볼 때, 엄격한 계급주의적 관점에서 목적한 바와는 달리, 유물론/관념론 대립투쟁의 주체는 동일한 지배계급 내에 있음을 알 수 있따 즉 서로 상이한 계층집단에 속하지만 결국은 둘 다 노예나 농민들에 대해 지배계급의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북한에서 유물론의 계승을 주로 계급투쟁의 현상 속에서 서술하고 있음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북한에서 유물론의 계승을 주로 계급투쟁의 현상 속에서 서술하고 있음을 간...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역사인식의 동질성 회복.hwp( 80 )
세번째로 검토할 대상은 북한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유물론의 성격규명이다. 북한에서 유물론의 계승을 주로 계급투쟁의 현상 속에서 서술하고 있음을 간... , 역사인식의 동질성 회복인문사회레포트 ,
다.
아무튼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두 계층이 모두 지배계급이라는 동일한 범주에 속할 때, 이 두 입장을 질적으로 대립·투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순서
역사(歷史)인식의 동질성 회복






세번째로 검토할 대상은 북한의 歷史(역사)서술에 나타난 유물론의 성격규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