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우주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7:35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우주론.hwp
당연히 그러한 탐구에 쓰이는 기본 도구는 수학과 물리학이다. , [자연과학] 우주론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 우주론
[자연과학] 우주론
순서
목 차
Ⅰ. 서 론
Ⅱ. 수학적 우주론과 물리학적 우주론
(1) 천동설의 매력
(2) 수학적 theory 과 실제는 다를 수 있따
Ⅲ. 대폭발 theory 이 태어나기까지
(1) 일반 상대성 theory 에서 출발
(2) 세 가지 conclusion(결론)
(3) 우주의 끝
(4) 3K 우주 배경 복사선
Ⅳ. 대폭발 theory 이 남긴 assignment들
(1) 코비가 풀어 낸 숙제
(2) 우주 나이 1백조 년?
(3) 부활을 기다리는 우주 상수
Ⅴ. 인플레이션 우주론의 등장.
(1) 인플레이션(Inflation:급팽창)이란 무엇인가?
(2) 새로운 우주론 : 급팽창 우주론 (인플레이션 우주론)
(3) 인플레이션과 상대성theory
Ⅵ. 현재의 우주를 통해 본 우주의 역싸
Ⅶ. 결 론
Ⅰ. 서 론
우리가 사는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우주는 과연 끝이 있는 것일까. 우리는 왜 지금 여기에 존재하고 있는 것일까. 이런 것들은 현재를 사는 모든 이들, 또는 과거를 살았던 모든 이들이 평생에 한 번쯤은 품었던 그러한 질문들일 것이다. 우주론은 우주의 탄생과 진화를 거시적인 안목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자연과학] 우주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이러한 의문에 답을 해 줄 수 있는 학문이 우주론(宇宙論, cosmology)이다. 우주론이라는 학문은 물론 ‘해답이 없는 질문’에 ‘이해 못할 대답’을 주는 학문은 절대로 아니다.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물론 수학이나 물리학이란 말만 들어도 알레르기…(생략(省略))
![[자연과학]%20우주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A%B0%EC%A3%BC%EB%A1%A0_hwp_01.gif)
![[자연과학]%20우주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A%B0%EC%A3%BC%EB%A1%A0_hwp_02.gif)
![[자연과학]%20우주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A%B0%EC%A3%BC%EB%A1%A0_hwp_03.gif)
![[자연과학]%20우주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A%B0%EC%A3%BC%EB%A1%A0_hwp_04.gif)
![[자연과학]%20우주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A%B0%EC%A3%BC%EB%A1%A0_hwp_05.gif)
![[자연과학]%20우주론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A%B0%EC%A3%BC%EB%A1%A0_hwp_06.gif)
[자연과학],우주론,자연과학,레포트
[자연과학] 우주론
Download : [자연과학] 우주론.hwp( 86 )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다. 현재 우주론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들, 앞으로 우주론에 도전하고 싶은 젊은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과연 무엇일까?
우주론의 가장 자신 있는 면모 중의 하나는 대우주 자체가 우리 인간이라는 미물의 얄팍한 지식으로도 어느 정도 이해되는 데 있따 우리가 사는 우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탐구에 쓰이는 도구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현대 우주론의 대표 주자는 당연히 대폭발 theory 이다. 그러나 이 theory 이 우주의 생성을 설명(說明)하고 그 끝을 예견하는 데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