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재료공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2 01:47
본문
Download : 기계재료공학.hwp
인장강도는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최대응력 즉, 재료가 견딜수 있는 최대 응력을 말하며 그래프에서 를 말한다.
여기서 v는 푸아송 비, 은 가로방향 변형도, 은 축방향 변형도이다. 즉 같은 재료라도 모양, …(투비컨티뉴드 )
기계재료공학,공학기술,레포트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다. 물체의 늘어난 량에 대한 외부 힘의 상대적인 비를 탄성계수라고 부르고, 보다 정확한 工學적인 정이는 응력-변형률 선도(stress-strain diagram)의 탄성범위 내에서의 기울기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방향 변형도와 축방향 변형도는 부호가 다르므로 푸아송 비는 양의 값을 갖고, 대부분의 금속과 합금의 v값은 0.25에서 0.35이다.
푸아송 비(Poisson`s ratio)는 탄성병형에 있어, 축방향 작용 응력에 따라 나타나는 축방향 변형률에 대한 횡방향 변형률의 비로서 다음과 같이 정이한다.
3) 재료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와 강성(Stiffness)의 차이점
탄성계수(Y)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정도로 시료의 형태가 동일하게 주어지면, 탄성계수가 클수록 같은 양을 변형하는데 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다
강성(Stiffness)이란 재료가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단위길이당 힘으로 나타내며 SI단위계에서는 [N/m]로 나타낸다.
Download : 기계재료공학.hwp( 35 )
기계재료공학
기계재료공학
기계재료공학 , 기계재료공학공학기술레포트 , 기계재료공학
기계재료工學
문제 1. 아래 각 항목에 대하여 간략하게 답하시오
1) 탄성재료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와 프와송비(Poisson`s ratio)
일반적으로 힘과 늘어난 길이가 비례관계에 있는 물체의 변형을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이라고 부르고, 이 탄성영역을 초과하여 힘을 가하면 물체는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을 나타내기 스타트한다.
2) 재료의 항복강도(Yield strength)와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항복강도(yield strength)는 재료가 힘을 받아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을 말하며, 그래프에서 B점 이 항복점이고 그때 응력이 항복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