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11:09
본문
Download :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hwp
성리학에 입각한 17세기 예학정신은 천리(天理)에 따르는 예제의 확립을 추구하며, 성리학의 바탕 위에 예의 형식적 준행이 아니라 의식적이고 자율적인 준행을 추구하였다.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 1997, p.218참조



설명
.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3) 왕실의 전례(典禮) 논쟁으로 인한 파급효과
.
16세기에 성리학이 융성한 뒤 17세기에 예학이 발전한 것은 조선유학의 전개상 자연스러운 일로서, 성리학 시대를 이어 예학이 대두한 것은 우연이 아니라 하겠다. 이에 사대부들은 무너진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회복하여 강상(綱常) 윤리를 재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성리학과 예학은 理論(이론)과 실천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몸소 엄격하고 철저하게 예를 실천하고 당시의 상황에 맞는 예제 질서를 확립하는데 힘을 쏟았다. 따라서 성리학과 예학은 理論(이론)과 실천의 관계로 이해 할 수고 있다.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 1997, p.218참조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순서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Download :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hwp( 56 )
인조 대 원조추숭문제(元宗追崇問題)와 현종대의 자의대비(慈懿大妃) 복상문제(服喪問題)등 왕신의 전례문제가 제기되어, 조신(朝臣)들뿐만 아니라, 전국의 유림이 전례논쟁에 참여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예제와 그 근거 논리가 당시 사대부들의 연구와 저술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김윤경, 『adolescent(청소년)을 위한 한국철학사 , 두리미디어, 2001, p.183참조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2. 예학(禮學)의 강화
2) 성리학 발달의 자연스러운 결과
당시의 조선 사회는 왜란과 호란으로 신분제가 동요되고 윤리도덕이 땅에 떨어졌다. 이는 예의 실천 윤리적 성격과도 맥을 같이 한다. 성리학 理論(이론)을 구체적으로 규범화한 것이 바로 예학인 것이다. 무속으로서의 종교적 제사의식에 잇는 신성(神聖)과 부정(不淨)의 관념을 기초로 하여 행위를 일정하게 규제하던 금기로부터 예가 비롯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다.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 1997, p.218참조
조선중기 - 예학의 강화
유학의 예(禮)가 구체화된 것은 주초(周初) 즉 문(文), 무(武), 주공(周公) 대로 보이지만 그 기원은 더 멀리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찍이 원시사회의 무속, 그 중 특히 제천의식에서 행해지던 금기(禁忌)의 관습에 예의 기원이 있다. 이에 따라 그들은 기존의 예제와 예정신을 더욱더 엄격히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종법에 기초한 『주자가례(朱子家禮)』를 깊이 연구하고 일상생화화하여, 유교적 국가사회를 재건하고자 했다. 당시의 도학자들은 구체적인 예제의 정립과 실천을 통해 도학 정신이 현실에 직접 구현된다고 여겼다. 또한 양란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사회를 재정비할 필요가 생기면서, 당시 지배층의 사상인 성리학에 따라 유교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강상윤리를 재건하기 위해 예제의 확립과 예의 정신을 강조하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예학의 발전은 성리학의 학문적 연구가 심화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