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 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4 09:27
본문
Download :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 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hwp
중구와 종로구가 서울시의 중앙업무지대 역할을 하지만 종로구의 경우 성북동과 평창동이 서울 북부 외곽으로 많이 벗어나서 이것을 중앙지역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아 앞으로 보다 엄밀한 기준을 세울 것을 기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잠정적으로 중앙지역을 서울 중심지에서 5Km이내에 속하는 동들로 정이하였다.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 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
레포트/경영경제
4. 중앙화 중앙화는 한 집단성원이 도시의 중앙에 공간적으로 위치한 정도를 가리키는데 서울시의 경우는 도시의 중앙과 외곽을 구분하기가... ,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 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4. 중앙화
중앙화는 한 집단성원이 도시의 중앙에 공간적으로 위치한 정도를 가리키는데 서울시의 경우는 도시의 중앙과 외곽을 구분하기가 용이치 않다.
<표 8>에서는 각 계층이 서울시의 중앙지역과 비중앙지역에 거주하는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데 하류층의 중앙지수가 0.211로 가장 높아서 이들이 서울시의 중앙지역에 가장 높은 비율로 거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아 반면 중상류층과 상류층의 중앙지수는 각각 0.162와 0.167로서 하류층과 중하류층의 중앙지수에 비해 낮아서 이들이 보다 서울시 외곽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보여준다. 중상류층과 상류층의 중앙지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이들이 주로 거주하는 아파트단지가 한강변을 따라 길게 연결된 강남지역 (화곡동, 여의도동, 이촌동, 반포동, 방배동, 신사동, 압구정동, 잠실동 등)과 시 외곽지역 (상계동, 천호동의 동부 고덕동 등)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아
<표 8 참조>
이러한 거주지분포의 또 …(생략(省略))
중앙화는 한 집단성원이 도시의 중앙에 공간적으로 위치한 정도를 가리키는데 서울시의 경우는 도시의 중앙과 외곽을 구분하기가...
설명
Download :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 분화 형태와 사회적 함의.hwp( 56 )






4. 중앙화
,경영경제,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