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2 10:30본문
Download :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2).hwp
하지만 무시와 실어증은 뇌손상과 높은 관련성이 있지만 이 두 장애가 밀기증후군을 야기할 수는 없으며 오른쪽 뇌손상과 왼쪽 뇌손상은 위의 두 장애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밀기(pushing)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양측 시상의 후외측(posterolateral thalamus)의 손상이 환자의 전형적인 손상 부위임이 밝혀져 이 부분의 손상에 의해 밀기증후군이 야기되는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따
3. 특징
뇌혈관 사고 환자들은 운동기능, 감각기능, 인지기능, 사회 심리적(psychosocial) 그리고 정신적(psychological) 기능 등에 장애가 나타난다.
그러나 밀기 증후군은 이와 반대로 편마비가 마비 쪽으로 미는 듯한 모습으로 기울어지며, 비(非) 마비 쪽으로 체중이동을 시킬 때 저항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 ,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의약보건레포트 ,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2).hwp( 30 )
![[의학][뇌손상]%20Pusher%20Syndrome[밀기%20증후군]에%20대해(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B%87%8C%EC%86%90%EC%83%81%5D%20Pusher%20Syndrome%5B%EB%B0%80%EA%B8%B0%20%EC%A6%9D%ED%9B%84%EA%B5%B0%5D%EC%97%90%20%EB%8C%80%ED%95%B4(2)_hwp_01.gif)
![[의학][뇌손상]%20Pusher%20Syndrome[밀기%20증후군]에%20대해(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B%87%8C%EC%86%90%EC%83%81%5D%20Pusher%20Syndrome%5B%EB%B0%80%EA%B8%B0%20%EC%A6%9D%ED%9B%84%EA%B5%B0%5D%EC%97%90%20%EB%8C%80%ED%95%B4(2)_hwp_02.gif)
![[의학][뇌손상]%20Pusher%20Syndrome[밀기%20증후군]에%20대해(2)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B%87%8C%EC%86%90%EC%83%81%5D%20Pusher%20Syndrome%5B%EB%B0%80%EA%B8%B0%20%EC%A6%9D%ED%9B%84%EA%B5%B0%5D%EC%97%90%20%EB%8C%80%ED%95%B4(2)_hwp_03.gif)
![[의학][뇌손상]%20Pusher%20Syndrome[밀기%20증후군]에%20대해(2)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B%87%8C%EC%86%90%EC%83%81%5D%20Pusher%20Syndrome%5B%EB%B0%80%EA%B8%B0%20%EC%A6%9D%ED%9B%84%EA%B5%B0%5D%EC%97%90%20%EB%8C%80%ED%95%B4(2)_hwp_04.gif)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
1. 정이
편마비 환자는 중력에 대항하여 적절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고 앉거나 선 자세에서 보다 정상에 가까운 비(非) 마비 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어떤 편마비 환자는 이와는 반대로 마비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앉거나 선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내게 되는데 이 증상을 밀기 증후군(Pusher Syndrome)이라고 한다.
`오른쪽 뇌가 손상된 pusher syndrome 환자`2. 요인밀기 증후군의 요인은 공간무시(Spatial neglect)에 의해 야기되며 두정엽에서의 뇌혈관 사고에 의해 발생한다고 가정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주된 증상은 자세긴장도의 변화, 감각의 저하, 지각 장애 등이 있따 특히, 마비로 인하여 앉은 자세나 선 자세에서 비(非) 마비 쪽으로 무게중심점(COG)이 이동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밀기 증후군은 고유수용성 감각의 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무시(neglect, inattention)와 같은 인지력에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서 많이 발견되…(skip)
설명
[의학][뇌손상],Pusher,Syndrome[밀기,증후군]에,대해,의약보건,레포트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
[의학][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