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2 22:24
본문
Download : 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hwp
홍판서의 인정은 길동이 홍판서로 대표되는 유교적 세계 속에 화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서자의 존재에 대한 인정은 자신들의 존재 내지 특권이 부정될 가능성과 연결되는 것이기에 인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 같은 길동의 目標(목표)은 초란이 자신을 모해하여 생명의 위협을 느끼면서도
쵸난을 죽이고져 다가 상공이 사랑시믈 닷고 칼흘 더지며
초란을 응징하지 않는 모습을 통해 유교적 절대 규범인 효를 극진히 하는 행동에서도 찾아볼수 있다아
…(dro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길동의 궁극적인 目標(목표)은 외적세계를 탈피하여 유교적 사회의 내적 존재이고자 하는 것이다.
1. 호부호형
길동은 홍판서의 서자로 태어나 호부호형을 하지 못한다.
그러나 후에 홍판서는 길동이 하직을 고할때 호부호형을 허락하며 이에 길동은 감격한다.
설명
Download : 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hwp( 93 )
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에 대한 자료 입니다.
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
레포트/인문사회
홍길동전에나타나는유교사상
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에 대한 자료 입니다.홍길동전에나타나는유교사상 , 홍길동전 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홍길동전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
홍길동전은 기존 체제를 부정하는 개혁 의지가 아닌 부조리한 세계의 모순을 교정하고 그 세계에 화합하여 이상적 유교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홍판서는 길동을 인정하게 되면 길동이 방자하여 적자의 위치까지 넘보고 후에 집안의 권위 계통까지 흔들리게 될 것을 우려한 것이다. 이는 서자인 길동이 홍판서로 상징되는 유교적 가정 질서 밖의 존재임을 뜻한다.
쇼인이 평 셜운바 대감 졍긔로 당당온 남 되여오 부모휵지은이 깁거늘 그 부친을 부친이라 못옵고 그 형을 형이라 못오니 엇지 사이라 오릿가
길동의 호소는 유교의 실천 덕목인 삼강오륜의 부자유친과 연결이 된다 이에 홍판서는
샹가 쳔비 소이 비단 너뿐이 아니여든 녜 엇지 방미 이갓흐요
라며 길동을 나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