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 부동산중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2:06
본문
Download : [부동산학] 부동산중개.hwp
부동산을 팔려는 사람과 구입하려는 사람 사이에서 양측에 정보를 제공해주고 거래를 성사시켜 줌으로써 부동산의 거래를 촉진시켜 시장의 효율성을 높인다.
4. 부동산중개업자의 기능
부동산중개업자는 부동산시장에서 부동산의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절. 부동산중개의뢰계약과 중개수수료
1. 부동산중개 의뢰계약(일독/전공순)
(1) 일반중개 의뢰계약(공…(省略)
[부동산학] 부동산중개
[부동산학],부동산중개,법학행정,레포트
설명
Download : [부동산학] 부동산중개.hwp( 37 )
[부동산학] 부동산중개 , [부동산학] 부동산중개법학행정레포트 , [부동산학] 부동산중개
레포트/법학행정
![[부동산학]%20부동산중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_hwp_01.gif)
![[부동산학]%20부동산중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_hwp_02.gif)
![[부동산학]%20부동산중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_hwp_03.gif)
![[부동산학]%20부동산중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_hwp_04.gif)
![[부동산학]%20부동산중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_hwp_05.gif)
![[부동산학]%20부동산중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8F%99%EC%82%B0%ED%95%99%5D%20%EB%B6%80%EB%8F%99%EC%82%B0%EC%A4%91%EA%B0%9C_hwp_06.gif)
다.
2. 부동산중개의 3요소
(1) 중개업자
원칙적으로 부동산중개업법에 의하여 중개업의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하지만, 특별법에 의해 중개업을 할 수 있는 특수법인(단위농협)도 있다
(2) 중개의뢰인
권리를 이전하는 의뢰인(매도인, 임대인)과 취득하는 의뢰인(매수인, 임차인)이 있다
(3) 중개대상물
법정 중개대상물로는 ① 토지, ② 건물 기타 토지의 정착물, ③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재산권 및 물건(입목, 광업재단, 공장재단) 등이 있다
3. 부동산 중개행위의 성격
(1) 민사중개
민사중개인인 부동산업자는 부동산중개업법에 따라야 하고, 부동산 거래행위의 중개만을 영업목적으로 해야 하며, 대리인과 구별되어야 할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다
(2) 참여중개
부동산중개는 중개업자의 개입정도에 따라 지시중개와 참여중개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의 중개형태는 정보만을 제공하는 지시중개와는 달리, 거래당사자간에 매개하여 계약이 체결되도록 알선하는 참여중개(매개중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3) 일방적 중개
중개는 그 책임과 의무의 정도에 따라 일방적 중개와 쌍방적 중개로 나뉘는데, 전자는 중개를 완성하기 위해 진력을 할 의무는 없으나 일단 중개가 완성 시에만 보수를 받으나, 후자는 중개를 완성하기 위해 진력을 할 의무를 지고 의뢰인도 보수지급의무를 부담하는 것이다.
[부동산학] 부동산중개
순서
부동산중개
제1절. 부동산중개의 의의
1. 부동산중개의 concept(개념)
부동산중개란 중개대상물에 대하여 거래당사자 간의 매매, 임대차, 교환, 기타 권리의 득실변경에 관한 행위를 알선하는 것을 말한다.
2. 부동산중개의 3요소
(1) 중개업자
원칙적으로 부동산중개업법에 의하여 중개업의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하지만, 특별법에 의해 중개업을 할 수 있는 특수법인(단위농협)도 있다
(2) 중개의뢰인
권리를 이전하는 의뢰인(매도인, 임대인)과 취득하는 의뢰인(매수인, 임차인)이 있다
(3) 중개대상물
법정 중개대상물로는 ① 토지, ② 건물 기타 토지의 정착물, ③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재산권 및 물건(입목, 광업재단, 공장재단) 등이 있다
3. 부동산 중개행위의 성격
(1) 민사중개
민사중개인인 부동산업자는 부동산중개업법에 따라야 하고, 부동산 거래행위의 중개만을 영업목적으로 해야 하며, 대리인과 구별되어야 할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다
(2) 참여중개
...
부동산중개
제1절. 부동산중개의 의의
1. 부동산중개의 concept(개념)
부동산중개란 중개대상물에 대하여 거래당사자 간의 매매, 임대차, 교환, 기타 권리의 득실?변경에 관한 행위를 알선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