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업수당 전반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2:24
본문
Download : 휴업수당 전반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hwp
2. 휴업 할 것
휴업이란 근로자에게 노무제공의 능력과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측의 사정으로 그 이행이 거부된 경우를 말한다. …(투비컨티뉴드 )
,법학행정,레포트
휴업수당 전반에 대해 노동법을 바탕으로 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되는 것은 불가항력의 범위이다.(판례 및 통설의 태도임)
3) 구체적 事例(사례)
예컨데 공장의 화재, 영업부진, 원자재의 부족, 작업량의 감소 등은 비록 민법상의 귀책사유에 의하여 발생된 것이 아닐지라도 사용자의 세력범위에 속하는 경영장애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불가항력의 범위
불가항력의 범위에 관련되어 ⅰ)휴업의 Cause 이 사업의 외부에서 일어났을지라도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예방조치를 다했지만, 이를 방지할 수 없었던 경우에만 불가항력이라고 보는 견해(불가항력설)가 있으나, ⅱ)사용자의 세력범위 내에서 발생한 경영장애를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보고, 경영 외적인 요인은 불가항력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세력권설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휴업수당성립요건및쟁의행위시휴업수당지급문제 , 휴업수당 전반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다.
휴업수당성립요건및쟁의행위시휴업수당지급문제
레포트/법학행정




휴업수당 전반에 대해 노동법을 바탕으로 하여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휴업수당 전반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hwp( 75 )
순서
휴업수당 전반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설명
Ⅰ. 들어가며
Ⅱ. 휴업수당의 성립요건
Ⅲ. 휴업수당액
Ⅳ. 쟁의행위와 휴업수당
Ⅴ. 기타 관련문제
Ⅵ. 마치며
Ⅱ. 휴업수당의 성립요건
1. 사용자의 귀책사유가 있을 것
1) 사용자의 귀책사유
사용자의 귀책사유에는 민법과 달리 사용자의 고의·과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불가항력이라고 주장할 수 없는 경우도 포함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