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외국어학습, 교수의 원리(PLLT) 내용요약(입학,임용,종합시험대비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29 21:37
본문
Download :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hwp
임용고시, 중간, 기말 고사, 종합시험 자료로 활용하셔도 손색이 없으실 겁니다. 임용고시, 중간, 기말 고사, 종합시험 자료로 활용하셔도 손색이 없으실 겁니다.
5. 학습은 비교적 항구적이나 망각되기 쉬운 것이다.
3. 보유란 저장 체계, 기억, 인지 구조 등을 의미한다.
● A rule-governed system with arbitrary symbols ⇒ 지식(문법지식)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PLLT, 영어교육학 전공서적
목차
■ 강의
▣ 제2 언어 습득에 관한 최근의 논점
a. observe을 통한 과학적 원리를 엄격히 적용하는데 충실 (객관적으로 인식되고, 기록되고, 측정(測定) 되는 reaction response에 중점)
합하면 전체 언어를 형성하게 된다고 봄
(순수언어학: 통사론, 의미론, 음성학) (응용언어학: 심리언어학, 언어습득, 영어교육, 사회언어학..)
● Empiricism(경험주의) ⇒ Structuralism(구조주의) / Behaviorism(행동주의)
● When? Maturation ⇒ Knowledge 로써의 언어: 학습자는 충분한 지적 이해가 있어야 한다. 언어 및 언어 학습은 보편적인 특징을 지닌다.
생성/인지주의: “Why`, 이성, 유전 및 環境요소, 상황등의 기저에 깔려있는 요소들에 관심
랑그: 언어능력(competence)과 유사한 정의(定義) 혹은 observe되지 않는 기저의 언어 능력.
▣ 언어
순서
(인지주의 심리학자: 이성주의적 접근법 rational approach))
1. 언어,학습 교수 2. 제1언어 습득 3. 나이와 언어 습득 4. 인간의 학습 5. 학습 유형과 strategy 6. 성격요인 7. 사회 文化적 요인 8. 언어간 영향과 학습자 언어 9. 의사소통 능력 10. 제2 언어 습득理論(이론)
a. 언어수행, 즉 표면에 명백하게 나타난 언어에 몰두한 기술론자들의 전통에서의 탈피(생성 언어학자)
■ 구조주의와 행동주의(1940,50년대) Leonard Bloomfield, Edward Sapir, B.F. Skinner
Function 으로써의 언어: 어린아이도 학습 가능
Download :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hwp( 17 )
일들을 포함한다. 대략적인 내용정리가 아니라 별도로 책을 보지 않아도 될만큼 거의 모든 내용을 빠짐없이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9point 크기로 36페이지입니다). 전공용어는 모두 영어표기도 같이 했습니다.
■ 정의(定義)
d. 언어는 조그마한 부문 또는 단위들로 분해될 수 있으며 이 단위를 과학적으로 기술, 대조하고 다시
● Who? Learner variables 상호작용 → 학습자 중심
c. 인간 행동의 저변에 있는 동기와 심층 구조들을 발견하려고 노력
▣ 학습(learning)과 교수(teaching)
b. 조직과 기능의 심리학적 원리를 발견해 내려고 노력(인지주의 심리학자)
■ 이성주의와 인지주의의 심리학(1960) = Noam Chomsky
vs EFL (instruction: 공부로 생각 = 지식적 측면)
6. 학습은 연습의 일부 형태, 아마도 강화된 연습을 포함한다. 대략적인 내용요약가 아니라 별도로 책을 보지 않아도 될만큼 거의 모든 내용을 빠짐없이 체계적으로 요약했습니다(9point 크기로 36페이지입니다). 전공용어는 모두 영어표기도 같이 했습니다.
● How? Processes & Strategies
⇒ Theoretical & applied linguistics
■ 학습의 정의(定義)
c. 명백하게 observe되는 data(資料)만을 연구
● Why? Purposes & Motivation
설명
● What? 지식 (Knowledge) + 기능(Function) ⇒ balance
● the research areas of linguistics
2. 학습은 정보 또는 기술의 보유이다.
● Rationalism(이성주의) ⇒ 생성, 변형(generative-transformational)언어학파, Cognitive psychology(인지주의)
영어교사, 교육학전공 학사, 석사과정에 있는 분들께 필독도서인 PLLT 한국어 번역본 내용 정리입니다.
● The most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 기능(의사소통) 이 두 가지가 조화되면 완벽한 언어구사
제1장 언어, 학습, 교수
7. 학습은 행동의 change(변화)이다.
영어교사, 교육학전공 학사, 석사과정에 있는 분들께 필독도서인 PLLT 한국어 번역본 내용 요약입니다. 대학원 수업 들으며, 두고두고 보려고 정성껏 정리한 자료입니다.
1. 언어는 체계적
1. 학습은 습득 또는 “획득”이다.
7. 언어는 비록 인간에게만 한정되지 않지만 본질적으로 인간 고유의 것이다. 대학원 수업 들으며, 두고두고 보려고 정성껏 요약한 자료입니다.
▣ 제2 언어 습득 관련 학파들
[영어교육]외국어학습, 교수의 원리(PLLT) 내용요약(입학,임용,종합시험대비용)
3. 기호들은 일차적으로 음성적이다.





b. 인간언어들을 기술하고 그 언어들의 구조적 특성들을 규명
4. 학습은 인간 신체 내부 도는 외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해 적극적이고 의식적으로 집중하거나 행동하는
● Where? ESL (natural: 학습자는 학습으로 생각 안함 = 기능적 측면)
4. 기호들은 그들이 지칭하는 규약 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시각적일 수도 있다.
5. 언어는 의사소통에 이용된다.
다.
⇒ 구조/행동주의: `What“, 행동의 객관적 측정(測定) 에 관심
2. 언어는 임의적인 기회들의 집합
빠롤: Skinner의 “observe 대상“, 그리고 Chomsky 의 언어수행(performance)
* Ferdinand de Saussure(1916): 빠롤(parole)과 랑그(langue)간에 구별이 있다고 함.
8. 언어는 모든 인간이 거의 같은 방법으로 습득한다.
6. 언어는 언어 사회 또는 文化 속에서 기능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