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ro.kr [복지] 社會福祉士 1급 특강 - 조사론 > gyro4 | gyro.kr report

[복지] 社會福祉士 1급 특강 - 조사론 > gyro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yro4

[복지] 社會福祉士 1급 특강 - 조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16:57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hwp





4) 논리적 경험주의(Logical Empiricism)
[복지] 社會福祉士 1급 특강 - 조사론
2) 과학으로서 사회과학



- 기록한 결과가 어떤 규칙에 따라 일정한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발견

많은 수의 특정한 사례를 experiment(실험)하고 관찰함으로써 특수한 것들로부터 공통적인 것을 찾아내어 일반적인 것을 추론하고 이에 관한 법칙과
1) 지식의 제공 : 이론(理論)을 통해 존재를 설명(explanation)하고자 함
새로운 이론도 기존의 이론과 비단절적 성격
7) 간주관성 : 같은 實驗방식에서는 같은 결과가 도출되야 함
⑥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 가치개입의 여지가 매우 많음
② 권위에 의한 방법 :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을 인용하여 형성하는 지식
- 일정한 유형이나 규칙성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설명(explanation)하고 임시적 conclusion 도출
3) 일반적 : 개별연구보다 많은 대상에 대한 일반적 성향을 밝혀 일반적 이해 추구

8) 인식론적 혼란
1) 과학적 지식탐구 : 사회복지조사 등 의문에 대해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
3) 일상적 지식
연구내용이 인간에게 해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말아야하며, 연구
사회, 복지, 1급, 조사론
- 가설을 정하지 않고 관심분야나 문제를 인식하는 차원에서 출발
4) 이론(理論)을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


사회복지조사론 1장 사회과학에 대한 이해 1. 지식의 형성방법 1) 과학적 지식탐구 : 사회복지조사 등 의문에 대해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 2) 비과학적 지식탐구 ① 관습에 의한 방법 : 사회적인 습관이나 관습을 수용하여 지식으로 형성하는 것 ② 권위에 의한 방법 :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을 인용하여 형성하는 지식 ③ 직관에 의한 방법 : 대상을 직접 인식하여 스스로 명제에 호소하는 방법 3) 일상적 지식 ① 합의적 지식 : 다수의 사람들이 사실이라고 믿기 때문에 형성되는 사실 ② 경험적 지식 : 개인의 경험적 사실에 근거한 지식 * 루빈과 바비(Rubin, A & Babbie, E., 1998: 34-42) 의 개인적 탐구의 오류 가능성 ① 부정확한 관찰 : 일반적인 관찰에 자신의 관점이 무의식적으로 반영되는 경우 ② 과도한 일반화 : 소수의 사례를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우 ③ 선별적인 관찰 : 과도한 일반화의 선행적 단계. 선입관에 근거한 관찰 ④ 꾸며낸 정보를 가지고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경우 : 기대한 결과가 안 나올 때 시행 ⑤ 사후발생적 가설 ⑥ 비논리적 추론 :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논리적 추론 ⑦ 이해에 자아가 개입됨 : 자신의 명예, 체면, 권위 등에 대한 보호적 기재 ⑧ 탐구의 성급한 종료 : 연구의 결과가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 성급하게 결론을 도출 ⑨ 신비화 : 문제를 이해할 수 없을 때, 신비적 원인으로 돌리는 행위 ⑩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9) 인지적 과학사회학(Cognitive Sociology of Science)


3) 사회과학 방법론과 자연과학 방법론의 차이
사고의 도식화 강조


1) 귀납주의(Induction)
누진적인 성격을 가진 학문
⑧ 탐구의 성급한 종료 : 연구의 결과가 부정적 influence을 미칠 때, 성급하게 conclusion 을 도출
* 루빈과 바비(Rubin, A & Babbie, E., 1998: 34-42) 의 개인적 탐구의 오류 가능성
1) 논리적 : 과학은 논리적 사고활동으로 과학적 설명(explanation)은 이치에 맞아야 함
사회文化적인 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음
-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해 내는 접근 방법



- 실증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며, ‘가설’을 입증하는 전반적인 과정

10) 행동주의(Behaviorism)

대상인 인간을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되며, 연구 결과에 있어 조사대

⑥ 비논리적 추론 :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논리적 추론
4) 사회과학의 한계
사회文化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음



② 뒤르껭(E. Durkheim) : 사회과학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방법을 사용해서 사회적 법칙을 발견해낼 수 있다고 주장
④ 꾸며낸 정보를 가지고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경우 : 기대한 결과가 안 나올 때 시행
② 연구방법이 완전치 못하고, 엄밀한 통제조작에 의한 연구가 어려움
사회복지조사론
연구자의 가치관이나 세계관에 영향을 받음
2) 규칙성의 일반화 : 사회현상 속의 논리적이고 지속적인 패턴, 규칙을 일반화 함
순서

6) 과학적 혁명(Scientific Revolution)

8) 수정가능성 9) 설명(explanation)적 10) 재생가능성 11) 객관성

3)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설명(explanation) : 현상에서 도출되는 변수간의 인과관계 규명
인간의 모든 행위와 타인과 상호 작용하는 사회적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회현상이나 인간의 행위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일반적 법칙
4) 간결성 : 최소한의 변수로 최대한의 설명(explanation)력 확보
연구자의 개성이나 사회적 지위에 양향받지 않음


- 分析적인 연역법과 경험적인 귀납법은 상호보완적 관계
① 딜씨(W. Dilthey) : 인간의 자유의지를 통해 누구도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일반화할 수 없다고 結論(결론). 설명(說明)과학로 인식되는 사회과학은 배제됨

⑤ 사후발생적 가설
② 과도한 일반화 : 소수의 事例를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우
3) 연역법과 귀납법의 상호관계
① 종합과학적 성격의 응용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학

명확한 結論(결론)을 내릴 수 있음

⑩ 실수하는 것이 인간이다. 2. 과학의 정의 1) 실용적인 관점 : 과학이란 인간이 환경을 지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의미 2) 이론적 관점 : 자연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3)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관점 : 학문간 접목을 지지하고, 현상에 대해 규명하기보다는의미를 정립하는데 중점. 판단을 회피하고 검증을 하지 않음 3. 과학의 목적 1) 지식의 제공 : 이론을 통해 존재를 설명하고자 함 2) 규칙성의 일반화 : 사회현상 속의 논리적이고 지속적인 패턴, 규칙을 일반화 함 3)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설명 : 현상에서 도출되는 변수간의 인과관계 규명 4)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 4. 과학의 특징 1) 논리적 : 과학은 논리적 사고활동으로 과학적 설명은 이치에 맞아야 함 2) 결정론적 : 단정적이기 보다 확률적 결정론의 의미.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 전제 3) 일반적 : 개별연구보다 많은 대상에 대한 일반적 성향을 밝혀 일반적 이해 추구 4) 간결성 : 최소한의 변수로 최대한의 설명력 확보 5) 구체적 : 개념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조작화가 필요 6) 반증가능성 : 다른 주장을 반증함으로써 본래의 주장을 확고하게 입증 7) 간주관성 : 같은 실험방식에서는 같은 결과가 도출되야 함 8) 수정가능성 9) 설명적 10) 재생가능성 11) 객관성 5. 과학적 조사(scientific research) 1) 연역법 : 가설 → 조작화 → 관찰, 경험 → 검증 -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해 내는 접근 방법 - 실증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며, ‘가설’을 입증하는 전반적인 과정 - 논리적 전개 : 이론→가설→조작화(가설의 구체화)→관찰→검증 2) 귀납법 : 주제선정 → 관찰 → 유형발전 → 임시결론 - 관찰에서 시작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을 전제해 나가는 논리적 과정 - 가설을 정하지 않고 관심분야나 문제를 인식하는 차원에서 출발 - 기록한 결과가 어떤 규칙에 따라 일정한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발견 - 일정한 유형이나 규칙성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설명하고 임시적 결론 도출 - 분석절차와 방법이 계량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통계 분석이 필요함 - 논리적 전개 : 주제선정→관찰→경험적 일반화(유형발견)→이론(임시적 결론) 3) 연역법과 귀납법의 상호관계 - 분석적인 연역법과 경험적인 귀납법은 상호보완적 관계 - 일반적으로 기존의 이론이 존재할 때 연역법을 사용하며 기존의 이론이 존재하지 않을 때 귀납법을 사용


1) 실용적인 관점 : 과학이란 인간이 環境(환경)을 지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의미
① 부정확한 watch : 일반적인 watch에 자신의 관점이 무의식적으로 반영되는 경우
명확한 結論(결론)을 내리기 어려움
- 일반적으로 기존의 이론(理論)이 존재할 때 연역법을 사용하며 기존의 이론(理論)이 존재하지 않을 때 귀납법을 사용
2) 귀납법 : 주제선정 → watch → 유형발전 → 임시conclusion


사고의 가능성은 무한정
보편적이거나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가설을 형성하여 경험적 관찰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을 중시


3) 논리적 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2) 연역주의(Deduction)
1. 지식의 형성방법
왓슨과 파블로프에 의한 개념으로 어떤 목적에 의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관찰·측정가능하고 증명될 수 있는 유기체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사회과학
이론을 형성하는 방법을 중시
4. 과학의 특징
파이애러벤드의 인식론적 혼란은 이미 사람들 사이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과학적 규범을 위반하는 것이 과학의 발전을 위한 일이라고 설명(說明)


① 합의적 지식 : 다수의 사람들이 사실이라고 믿기 때문에 형성되는 사실
레포트 > 기타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4121_01_.gif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4121_02_.gif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4121_03_.gif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4121_04_.gif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4121_05_.gif
칼 포퍼에 의한 개념이며, 과학은 기존의 이론과 상충되는 현상을 관찰하는데서 발하는 것이며, 지속적인 반증의 과정에서 살아남는 것이 과학이라고 주장
블루어와 반스에 의해 주창되었으며 과학적 지식이란 일종의 사회화 과정이며, 합리성 또한 단순한 인지적 과정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영향
1장 사회과학에 대한 이해
3. 과학의 목적
5) 반증주의(Popperian Falsificationism)

⑤ 인간이 연구대상이므로 인간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사용할 시 윤리성 문제 발생
사고의 가능성은 제한

을 찾아내려는 지식체계

① 연구대상이 복잡하고 가변적임

2) 비과학적 지식탐구
- 논리적 전개 : 주제선정→watch→경험적 일반화(유형발견)→이론(理論)(임시적 conclusion )
2. 과학의 정의
- 논리적 전개 : 이론(理論)→가설→조작화(가설의 구체화)→watch→검증
- 分析절차와 방법이 계량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통계 分析이 필요함

① 관습에 의한 방법 : 사회적인 습관이나 관습을 수용하여 지식으로 형성하는 것
1) 사회과학의 의의
② 경험적 지식 : 개인의 경험적 사실에 근거한 지식
사고의 도식화에 대한 의문제기
로던의 연구전통에서 과학의 목적은 문제 해결이며, 과학에서 사용되는 이론의 가치 여부는 중요한 경험적 문제들에 마주향하여 납득할 만한 설명(說明)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라고 설명(說明)
④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③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5. 과학적 조사(scientific research)
5) 구체적 : 개념(槪念)에 대한 정확한 측정(measurement)과 조작화가 필요
형이상학적 명제나 진술을 배제하고 검증가능성의 원리에 적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protocol) 명제, 즉 검증가능한 명제만을 추구

상자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해야 함

토마스 쿤의 개념으로, 기존의 패러다임을 부정함으로써 과학은 혁명적으로 발전하며, 이것을 패러다임의 전환, 즉 과학적 혁명으로 설명(說明)
6) 반증가능성 : 다른 주장을 반증함으로써 본래의 주장을 확고하게 입증
과학적인 연구라고 설명(說明)
설명


2) 결정론적 : 단정적이기 보다 확률적 결정론의 의미. 현상에 대한 인과관계 전제

1) 연역법 : 가설 → 조작화 → watch, 경험 → 검증
진리를 검증하고자 하는 논리적 실증주의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진리의 확인’이라는 개념을 사용, 진리를 가설로 세워 검증시킴으로써 진리임을 다시 확인하는 방법 중시
③ 선별적인 watch : 과도한 일반화의 선행적 단계. 선입관에 근거한 watch
③ 객관적 예측이 불확실함
7. 과학으로서 사회과학
독창적이고 유일한 성격의 학문
7) 연구전통(Research Tradition)
3)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관점 : 학문간 접목을 지지하고, 현상에 대해 규명하기보다는의미를 정립하는데 중점. 판단을 회피하고 검증을 하지 않음
② 실제 현장에서 직접 실천되는 실천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Download : 사회복지사 1급 특강 - 조사론.hwp( 14 )





을 받는 상대적 개념이라고 설명(說明).
③ 직관에 의한 방법 : 대상을 직접 인식하여 스스로 명제에 호소하는 방법

③ 베버(M. Weber) : 딜씨와 뒤르껭의 중간적 입장으로, 사회현상은 사회적 법칙에 의해 결정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지적 행동의 산물이기도 하다고 주장
⑦ 이해에 자아가 개입됨 : 자신의 명예, 체면, 권위 등에 대한 보호적 기재
- watch에서 처음 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理論)을 전제해 나가는 논리적 과정
기존이론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이론의 대두 가능
5) 사회과학의 윤리성
8.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자연과학
2) 이론(理論)적 관점 : 자연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explanation)
⑨ 신비화 : 문제를 이해할 수 없을 때, 신비적 요인으로 돌리는 행위


6. 과학철학
다.
전체 24,57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yr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