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인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2:09
본문
Download : 지성인에 대한 고찰.hwp
따라서 그람시는 유기적 知性人에 대해 ‘자본주의 기업가는 자신들의 곁에 산업기술자, 정치경제의 전문가, 새로운 文化(culture) 와 새로운 법률체계 등의 조직가들을 창출해낸다’라고 말하고 있다
정반대의 극단에는 쥘리앙 방다의 知性人에 대한 매우 훌륭한 定義(정의)가 있다 그는 知性人들을 인간의 의식을 形成하는 탁월한 재능과 道德的자질을 부여받은 아주 적은 무리의 哲人같은 자들로 본다. 방다는 진정한 知性人들이란 “자신의 행위가 본질적으로 現實的 목적 추구에 있지 않은 자들로서, 예술, 문학 또는 형이상학적 사색의 실천에서 즐거움을 추구하는 모든 사람들이다.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지성인에 대한 고찰
설명
지성인에,대한,고찰,경영경제,레포트
지성인에 대한 고찰 , 지성인에 대한 고찰경영경제레포트 , 지성인에 대한 고찰
Download : 지성인에 대한 고찰.hwp( 56 )
지성인에 대한 고찰
Ⅰ. 知性人이란 누구인가
知性人은 매우 큰 집단인가. 아니면 극히 작은 고도로 선택된 사람들의 집단인가 20세기의 知性人에 대한 가장 훌륭한 설명(explanation) 두 가지는 이 점에 대해 근본적인 對立을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의 마르크주의자이자, 행동주의자이며, 뛰어난 정치철학자였던 안토니오 그람시는 그의 옥중수고에서 ‘모든 사람이 知性人들이며,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社會에서 知性人의 기능을 소유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記述하고 있다
그람시가 보여주고자 한 사회에서 知性人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들을 두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다 첫째는 대대로 같은 일을 계속하는 교사, 성직자, 행정가와 같은 전통적 知性人들이다. 요컨대 非物質的인 이익을 소유하는 것에서 즐거움을 찾고,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 ‘나의 왕국은 이 세상에 있지 않다’라고 말함으로써 즐거움을 얻는 자들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방다가 제시하는 事例(사례)들은, 知性人들이 난해하고, 더욱이 불가해적인 주제에 개인적으로 깊이 빠져 전혀 어떤 속박도 받지 않는 초세속적인 상아탑의 사색가들이라는 관념을 시인하고 …(투비컨티뉴드 )
다. 둘째는 유기적 知性人들로서 그람시는 그들을 이익을 조직화하고, 더 큰 權力을 얻고, 더 많은 統制力을 갖기 위해 知性人들을 이용하고 있는 계급 또는 기업가들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자들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