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21:02
본문
Download : 생리학 레포트.hwp
순서
Download : 생리학 레포트.hwp( 63 )
1. 심전도(Electro Cardio Gram)
1) 심전도의 의미
심장에 전기를 증폭시켜 기록한 그림
심장 상태를 측정(測定) 하거나 손상 범위 진단시 이용
2) 심장의 전도계
① 동방결절(SA node)
1차적 심박조절자(pacemaker)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의한 조절을 받음
심전도 상에서 P파
② 방실결절(AV node)
심방수축동안 자극 지체 후 His Bundle로 전도
심전도 상에서 PR간격
③ His Bundle
심실중격에 위치한 특수 근육섬유 다발
방실결정에서의 전기적 자극을 purkinje fiber로 전달
④ Purkinje fiber
bundle로부터 받은 전기적 자극을 심내막과 심근으로 전달
심전도상에서 QRS파
2. 일박출량(Stroke Volume, SV)과 혈압
1) 일박출량의 ...
1. 심전도(Electro Cardio Gram)
1) 심전도의 의미
심장에 전기를 증폭시켜 기록한 그림
심장 상태를 측정(測定) 하거나 손상 범위 진단시 이용
2) 심장의 전도계
① 동방결절(SA node)
1차적 심박조절자(pacemaker)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의한 조절을 받음
심전도 상에서 P파
② 방실결절(AV node)
심방수축동안 자극 지체 후 His Bundle로 전도
심전도 상에서 PR간격
③ His Bundle
심실중격에 위치한 특수 근육섬유 다발
방실결정에서의 전기적 자극을 purkinje fiber로 전달
④ Purkinje fiber
bundle로부터 받은 전기적 자극을 심내막과 심근으로 전달
심전도상에서 QRS파
2. 일박출량(Stroke Volume, SV)과 혈압
1) 일박출량의 의미
심실박동수 1회당 심실에서 분출하는 혈액량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박출
안정시 70ml이나 운동 등에 의해 심장 기능이 활성화되면 150ml로 증가
2) 일박출량에 影響을 미치는 요인
① 전부하(Preload)
심실 수축 전 심실에 채워지는 혈류량
Frank-Starling law:심실내 혈류량 증가-심근의 길이 증가-수축력의 증가-1회
박동량의 증가-심실의 과도한 증가-심근의 수축력 약화-심박출량 저하
과도한 전부하가 지속되면 심박출량의 저하 초래
정맥귀환(Venous return)으로 심근섬유의 신장에 影響을 미침
② 후부하(Afterload)
좌심실의 혈액분출시 심실벽에서 발생되는 저항하는 힘
대동맥의 압력에 의해 影響
정상인의 경우 일정하지만 고혈압 환자는 후부하가 증가하면 ESV도 증가
③ 심근의 수축력
교…(skip)



생리학 보고서
생리학,레포트,기타,레포트
생리학 레포트 , 생리학 레포트기타레포트 , 생리학 레포트
설명
레포트/기타
생리학 보고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