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가 고찰 - 槪念 주제 정서 분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19:44
본문
Download :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hwp
백철 ․ 조연현은 임화의 「槪說新文學史」에서 말한 「新詩의 先驅로서의 唱歌」의 논지를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 백철은 開化時代에는 唱歌가 유행했었다고 말하고, 이 唱歌는 전통의 時調 및 數辭와는 달리, 서양식 樂曲에 의한 新式 노래로서 그 본질을 규정하고 있다. 이제까지 논의되어온 논지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그것은 形式과 內容의 어느 한 側面을 강조하는 觀點的 差異에서온 것이다. 所謂 新體詩 또는 新詩의 嚆矢로 일컬어지는 「海에게서 少年에게」와 「舊作三篇」이전까지의 새로 전개되는 開化思想이나 時代意識을 고취했거나, 아니면 구세력 내지 외세에 교묘히 편승하여 賣國하려는 아첨배들에 대한 강렬한 抵抗精神을 謳歌한 노래들이 대부분이다.
Download :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hwp( 50 )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창가 고찰 - 槪念 주제 정서 분류
창가 고찰 - 관념 주제 정서 분류
② 開化歌辭 - 唱歌 - 新體詩
다. 첫째, 開化期 詩歌의 音數律이나 分聯의 형태적 측면에서 추구한 것으로는
창가 고찰 - 槪念 주제 정서 분류
창가 고찰 - 槪念 주제 정서 분류
설명
① 唱歌 - 新體詩(新詩)
등과도 같은 繼起的 展開는 대체로 시적 形態에 의한 분류법이다. 그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
③ 開化詩 - 開化歌辭 - 唱歌 - 新詩
.
창가 고찰 - 槪念 주제 정서 분류





① 唱歌 - 新體詩(新詩)순의 전개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新體詩 이전의 開化期 詩歌의 총체를 「唱歌」의 범주에다 포괄하고 있다. 이재선,김학동,박종철 공저 『개화기문학론』,한국학술정보, 2002, pp.185~190.
.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 창가 고찰 - 개념 주제 정서 분류
창가 고찰 - 槪念 주제 정서 분류
이 開化期 詩歌에서 新體詩까지 이르는 우리 근대시의 전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거듭되어져 왔다.
開港期 이래 서구文化(culture) 의 세차 流入과 함께 빚어진 新舊의 갈등적 상황 속에서 開化期 詩歌는 형성되었다. 임화의 「新詩의 先驅로서의 唱歌」라고 한 것을 위시하여 백철 ․ 조연현 등 초기의 논자들에 나타난 견해이다. 이병기 ․ 백철 공저,『한국학전사』,신구文化(culture) 사, 1963, p.232 참조.
.
다시 말해서 창가는 우리나라에서 근대식 서양음악의 시작이고, 동시에 근대가사의 출발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거듭된 논의과정에서 開化期 詩歌의 윤곽이 점차로 드러나게 된 것은 사실이나, 各己의 견해차를 해소하고 하나로 통일된 결론에 이르렀다고는 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