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한글 표기법의 변천0k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0 12:07본문
Download : 한글 표기법의 변천0k.hwp
Ⅰ. 서 론
3.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
3) 자모
Ⅲ. 결 론
1) 역사(歷史)
한글 표기법의 변천0k
2) 음 운
한글 표기법의 변천, 현행 한글맞춤법, 근대국어 표기법, 중세국어의 표기법, 한글맞춤법 통일안
국어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 2 공통
4)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1) 표기법의 특징
[방송대] 한글 표기법의 변천0k
1) 한글맞춤법통일안
위 자료(資料) 요약정리(arrangement) 잘되어 있으니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박홍길, 1988, 『맞춤법과 표준말의 논의점 - 문교부의 것을 중심으로 』동의어문논집
한글 표기법의 변천0k 국어국문학과 맞춤법과표준어 2 공통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나찬연, 한극맞춤법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2002.
순서
2. 근대국어 표기법
-한글 학회(1989)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1980)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1940) 우리말 로마자 적기(1984), 서울: 한글 학회
다. 예사로운 대화는 말할 것도 없고, 극도로 섬세한 예술적 표현과 극도로 정밀한 과학적 표현까지 능히할 수 있어야 제구실을 다하는 것이 된다된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그 나라의 고유 언어를 최대한 살리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각 선진국은 어문 정책을 신중하게 세우며, 깊이 있게 연구하고, 토론하여 자기 나라에 이익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기에 `어문 정책의 변경은 헌법의 개정보다 신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
설명
-김태준, 1988, `한글 맞춤법의 결점에 대한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Ⅱ. 본 론
2) 맞춤법의 원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신연희(1990), 「19세기 전기 국어의 표기법과 음운 변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전공.
2) 내용





6) 1933년 통일안과 198년 맞춤법 간에 變化가 생긴 이유
참고資料
7) 맞춤법에서 표음주의가 반영된 예
1. 중세국어의 표기법
Download : 한글 표기법의 변천0k.hwp( 70 )
4. 현행 한글맞춤법
3) 어 휘
1) 표기법
Ⅰ. 서 론
2)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
말과 글은 인간의 표현 욕구를 채우는 그릇이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까다로운 표현도 척척 해낼 수 있는 능력, 어떤 새로운 필요가 생겨도 당황하지 않고 감당해낼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날마다 말과 글을 통하여 살아가며, 언어가 없다면 우리의 삶은 거의 마비되고 말 것이다. 한민족의 정서와 의사표현을 한글로 나타내고 잇는 한민족 고유의 문화인 것이다. ^^
4) 표기법
5) 띄어쓰기
3) 16세기 표기법
한글은 우리의 고유문화이다. 어문 정책은 겨레와 나라의 장래를 생각하여 백 년, 천 년을 바라보고 세워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유 언어인 한글을 사용하지 못한다면 한민족의 정체성은 이미 상실하고 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