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2:12본문
Download : 복막투석.hwp
연관분야 공부하시는데 아무쪼록 활용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 복막투석의약보건레포트 ,
Ⅰ. 복막투석에 대하여
1. 복막 투석이란?
2. 복막 투석의 원리는?
3. 지속적 복막 투석의 방법은?
4. 복막투석의 적응증(혈액투석과 비교)
Ⅱ. 복막투석의 종류
1.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2. 지속적 주기적 복막투석
3. 간헐적 복막투석
Ⅲ. 복막투석시 발생가능한 problem(문제점)과 관리
1. 복막투석액의 누출
2. 커프의 노출
3. 연결관의 분리
4. 카테터의 용액 주입관에 금이 갔을 때
5. 복막투석의 상대적 금기
Ⅳ. 복막투석과 식이요법(Nutrition and Peritoneal Dialysis)
1. 식사원칙
혈액 투석과 더불어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신 대체 요법의 하나로 환자 자신의 복막을 이용하여 투석하는 방법으로 이를 위해 환자의 복부에 특수 제조된 부드러운 관을 삽입하며 이 관을 통해 투석액을 주입하고 배액함으로써 체내 노폐물과 수분 등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혈액 투석과는 달리 월 1회정도만 병원을 방문하면 되고 다른 치료에 비해 혈압조절이 쉽습니다.
: 신체상의 變化, 복막염, 체중 증가, 단백질 소실
3) 자동 복막 투석
잠을 자는 동안 투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생략(省略))
설명
Download : 복막투석.hwp( 26 )
복막투석에 대하여 복막투석의 개념(槪念)과 원리 방법 및 복막투석의 종류를 살펴보고, 복막투석시 발생가능한 문제가되는점 과 관리 및 식이요법에 관련되어 정리했습니다. 다들 좋은 평가 받으시길 바랍니다. 이막은 인체의 복부내에 있는 장기를 싸고 있으며 자체의 혈액 순환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막은 불순물이 통과할 수 있는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property(특성)이 복막투석에 이용됩니다.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복막투석
,의약보건,레포트
복막투석에 대하여 복막투석의 개념과 원리 방법 및 복막투석의 종류를 살펴보고, 복막투석시 발생가능한 문제점과 관리 및 식이요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다. 다들 좋은 평가 받으시길 바랍니다. 연관분야 공부하시는데 아무쪼록 활용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1) 복막 투석의 advantage
가정에서 스스로 관리할 수 있고 식사의 제한이 적습니다.
혈액 속에 있는 노폐물을 복막이라는 복강을 싸고 있는 얇은 막을 통해 제거하는 것입니다.
: 환자 자신이 직접 실시, 일상 생활 및 직장 생활의 지속이 가능, 24시간 치료함으로써 식이 및 수분 섭취가 자유롭고 혈압 및 혈당 조절이 용이
2) 복막 투석의 단점
결점으로는 투석액과 함께 몸 안의 단백질이 상당량 체외로 유실되고, 투석의 효율가 적으며, 장기간 반복하면 1년 내에 복막에 유착이 생겨 그 이상 투석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는 사실입니다.
또한 투석액을 늘 가져 다녀야하며, 하루 4회 교환하여야 하고 도관을 위한 복막 수술이 필요하며 복부에 도관을 달고 다녀야하는 불편과 복막염의 위험이 있어 본인 스스로가 투석 중 청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신체에 부담이 적으며 당뇨환자에 있어서는 인슐린을 복강안으로 주입할 수 있다는 advantage도 있습니다. 두께 6mm 정도의 작고 부드러운 도관을 수술로 복강 안에 심고 몸 밖으로 도관이 8~10cm정도 나오게 됩니다. 복막투석은 깨끗하고 독립된 장소라면 가정이나 직장, 학교 또는 여행 중이라도 교환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