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08:22본문
Download :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hwp
여음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소리가 사라지거나 거의 사라진 뒤에도 아직 남아있는 음향이고, 음악 용어로는 성악곡에서는 노래는 쉬고 악기만 연주되는 부분을, 기악곡에서는 독주하는 악기는 쉬고 반주하는 다른 악기들만 연주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여음은 원시시가의 생성과 더불어 발생하여 향가, 고려가요에 이르기 까지 그 모습을 변모하며 발전해 왔다.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조율소 : 조율을 목적으로 하여 가사에 넣은 무의미한 소리 요소,
1. 여음의 정의
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반복구 : 여음의 반복구도 있고, 실사의 반복구도 있다아 또 여음과 실사가 합쳐져 반복구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아
구 음 : 악기의 의성음이나 주술적인 입타령의 소리,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
예를 들면 「서경별곡」에 보이는 여음인 ‘아즐가’와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에 있어서, ‘아즐가’는 앞의 어사를 강조하기 위해 넣은 여음이고, ‘위~ 다링디리’는 악곡의 장을 나눔과 뒷 장에의 연결을 위해 조율적으로 넣은 여음이다.순서
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조흥구 : 감흥을 돋구기 위하여 가사에 넣는 무의미한 소리 무리
설명
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여음의 정의는 어려운 문제이나, 우리 시가의 경우 여음이 가장 다채롭게 구사된 고려 속가를 통해 정의를 도출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이 시가의 앞에 붙으면 전렴, 중간에 들어있으면 중렴이라 할 수 있다아”고 하며 여음의 정의를 그릇 설정하고 있다아 정재호 교수가 여음으로 보고 있는 ‘시의 각연마다 실사로 된 동일한 형태의 시행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삽입되는 경우’란 반복구를 지칭함이 분명한데, 여음은 결코 실사의 반복은 아닌 것이다. 다음으로 정재호 교수는, “시가에서는 실사 이외에 허사가 들어가거나 또는 시의 각 연마다 실사로 된 동일한 형태의 시생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아 이러한 것들의 명칭으로 시가의 뒤에 붙는 것을 흔히 ‘후렴’이라 부른다.
먼저, 황희영 교수는, “여음이란 어디까지나 그야말로 nonsense version격인 자체시가(서정적, 서사적)의 수사적 표현과는 무관한 기사적 의미는 별다른 뜻을 가지고 있지 않는, 여음구 자체의 음율적인 구절 형식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여 여음은 수사적 표현과는 무관한 것으로 별다른 뜻이 없으면서 음율적인 구절형식을 갖추고 있는 것이라 하였고, 다음으로 박준규 교수는 “시가에서 말하는 여음이란 그 뜻자체로 ‘나머지의, 남은 소리’등의 관념에서 흔히 연상하는 작품의 후렴 그것뿐만 아니라, 작품으로 표현된 시상이 발현되고 요점될 때까지에 충격 야기되는 작자의 정서와 호흡, 다시 이것이 요점된 시상을 둘러싸고 맴돌면서 후렴에까지 지속된 여정 그 전부(불명료한 의식 내용)을 가리킨다”고 하며 여음을 후렴에까지 지속되는 여정에 중점을 두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문학적인 의미로는 구비문학, 특히 구창문학인 시가 등에서 연 단위에 본 가사의 앞 ․ 뒤가운데에 있어서 의미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를 일으키는 어절이나 구절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후렴구 : 시가의 본 가사의 뒤에 붙는 무의미한 여음. 이 여음에 「쌍화점」처럼 실사도 있음.
餘音이라는 것은 흥과 멋을 돋구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效果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내지 감탄적 사설을 말한다.





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
다. 그리하여 여음에 대한 명칭도 감탄구 ․ 구음 ․ 조율소 ․ 조흥구 ․ 후렴구 ․ 반복구 등 다양한데, 이러한 명칭은 여음의 형태와 기능, 시가 본사에서의 위치 등을 고려함 없이 붙인 명칭에 불과하다. 감탄구 : 감탄사가 들어있는 구나 행임, 고려 속요에서 ‘아소님하’가 들어있는 결사가 감탄구임
Ⅱ. 본 론
.
Download :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hwp( 70 )
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고려속요의 기능과 속성
따라서 여기서는 여음을 ‘시가에서 대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며, 율격을 띠고 나오는 무의미
고려속요의 기능과 특성
이러한 여음에 대한 정의를 내린 사람이 많은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쌍화점」에 보이는 후렴구는 여음구와 실사가 합쳐져 본사의 내용과 정서를 확장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그러므로 여음은 때로 후렴구도 되고 때로 여음과 실사가 합쳐져 반복구도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여음의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면 단순한 조음구의 역할, 시가의 전체를 마무리짓는 종결의 역할, 각 연과 여음 사이의 분리를 보여주는 분절의 기능, 음보나 음악적 요소의 길이를 고려한 해음적 기능, 마지막 부분에서 앞의 내용을 종합해주면서 감정을 절정으로 치닫게 하는 절정적 기능 등이다. 여기에서는 여음의 기원과 그 발달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고 그리고 그것의 특성과 기능에 대상으로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