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수 서평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를 읽은후 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1:27
본문
Download : A+ 서평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docx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서의 강의로 유명한 중앙대학교 독문학 김누리 교수의
- 책 내용 中 -
신념과 철학이 담겨져 있었다. 저자는 아래와 같이 이야기를 하며 한국의 민주주의를 독일이 그것과 비교하는 이유에 대해 역설했다. 하지만 독일이라는 거울 앞에 우리를 세워 놓고 보면 거리를 두고 우리의 새로운 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
설명
다.
우리가 다른 나라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단순히 그 나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우리 자신을 좀더 깊이 알기 위해서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글 내용 중 자기 스스로의 각성에 대해 이야기 할 때는 저자가 어떤 면에서는 불교 철학의 색도 띄고 있지 않나, 불교의 effect도 받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도 받게 되었다. 그의 책 속에 뛰어들 흥분과 기대되는 마음을 갖고 책을 한장
독일, 민주주의,파시스트,정치,정치이념,68혁명,86세대,통일,분단
1989년 독일로 유학을 떠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상황을 지켜보았던 저자는
민주주의자 없는 민주주의
저자는 아래와 같이 이야기를 하며 한국의 민주주의를 독일이 그것과 비교하는 이유에 대해 역설했다.
순서
저자는 아래와 같이 이야기를 하며 한국의 민주주의를 독일이 그것과 비교하는 이유에 대해 역설했다.
책이 출판 되었다. 하지만 독일이라는 거울 앞에 우리를 세워 놓고 보면 거리를 두고 우리의 새로운 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
책이 출판 되었다. 우리를 낯설게 대면 하게 된다.
Download : A+ 서평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docx( 23 )
- 책 내용 中 -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서의 강의로 유명한 중앙대학교 독문학 김누리 교수의 책이 출판 되었다. 그의 책 속에 뛰어들 흥분과 기대되는 마음을 갖고 책을 한장 한장 정독하였고, 책은 역시 강의만큼이나 정교하고, 논리적이었으며 저자의 솔직한 신념과 철학이 담겨져 있었다. 우리 사회를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 우리의 삶의 방식이 非 이상적이고 부조리 하고 이상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독일이라는 거울 앞에 우리를 세워 놓고 보면 거리를 두고 우리의 새로운 모습을 바라볼 수 있다아 우리 사회를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 우리의 삶의 방식이 非 이상적이고 부조리 하고 이상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아 우리를 낯설게 대면 하게 된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서의 강의로 유명한 중앙대학교 독문학 김누리 교수의
한장 정독하였고, 책은 역시 강의만큼이나 정교하고, 논리적이었으며 저자의 솔직한
한장 정독하였고, 책은 역시 강의만큼이나 정교하고, 논리적이었으며 저자의 솔직한
경쟁 없는 학교, 등록금과 생활비 전액 무상 대학, 이사회의 절반이 노동자인 기업 등 한국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복지 정책과 사회적 定義(정의)가 자리 잡은 문화를 독일에서 처음 마주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글 내용 중 자기 스스로의 각성에 대해 이야기 할 때는 저자가 어떤 면에서는 불교 철학의 색도 띄고 있지 않나, 불교의 영향도 받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도 받게 되었다.최우수 서평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를 읽은후 나서
신념과 철학이 담겨져 있었다. 문제를 ‘상식적으로’ 해결하는 독일을 지켜보며 자신이, 그리고 한국의 문화와 사회 시스템이 ‘이상하다’는 점을 느낀 저자는 두 나라의 역사와 교육,정치,사회,문화를 꼼꼼히 살펴보며 그 非 정상성의 수수께끼를 하나씩 풀어나간다
사회를 냉정한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본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사회를 냉정한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본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문제를 ‘상식적으로’ 해결하는 독일을 지켜보며 자신이, 그리고 한국의 문화와 사회 시스템이 ‘이상하다’는 점을 느낀 저자는 두 나라의 역사와 교육,정치,사회,문화를 꼼꼼히 살펴보며 그 非 정상성의 수수께끼를 하나씩 풀어나간다 민주주의자 없는 민주주의 우리가 다른 나라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단순히 그 나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우리 자신을 좀더 깊이 알기 위해서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사회를 냉정한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본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우리 사회를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 우리의 삶의 방식이 非 이상적이고 부조리 하고 이상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그의 책 속에 뛰어들 흥분과 기대되는 마음을 갖고 책을 한장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글 내용 중 자기 스스로의 각성에 대해 이야기 할 때는 저자가 어떤 면에서는 불교 철학의 색도 띄고 있지 않나, 불교의 effect(영향) 도 받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도 받게 되었다. 우리를 낯설게 대면 하게 된다된다. - 책 내용 中 - 1989년 독일로 유학을 떠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상황을 지켜보았던 저자는 경쟁 없는 학교, 등록금과 생활비 전액 무상 대학, 이사회의 절반이 노동자인 기업 등 한국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복지 정책과 사회적 정의가 자리 잡은 문화를 독일에서 처음 마주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