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및 장단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0 12:28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hwp
Download :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hwp( 86 )
선별주의 - 개인의 욕구충족을 일차적으로 가족이나 시장을 통해 충족하도록 하는 것. 국가는 가족, 시장을 통해 충족할 수 있는 욕구에 대해 임시보완적 활동을 할 뿐임. 급여수준은 최저수준, 사회복지는 잠정적, 일시적인 기능을 대신하는 구호적 성격(시장을 통한 분배 중시)
순서
3. conclusion
● 모델의 기본concept(개념)
1. 잔여적[보충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잔여적 접근론이 성립되게 된 가장 큰 배경중의 하나는 19C 말 서구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따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드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았고 이는 도시의 빈민들을 급격하게 양산하여 국가에서 이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할 필요성(必要性)을 느끼게 하였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성립배경
사회복지정책론,잔여적,보충적,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 모델의 기본concept(개념)
1. 잔여적[보충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 모델의 기본개념 ● 성립배경 ● 장점 ● 단점 2.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 모델의 기본개념 ● 성립배경 ● 장점 ● 단점 3. 결론
● 단점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1537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0/%5B%EC%82%AC%ED%9A%8C%EB%B3%B5%EC%A7%80%EC%A0%95%EC%B1%85%EB%A1%A0%5D%20%EC%9E%94%EC%97%AC%EC%A0%81%5B%EB%B3%B4%EC%B6%A9%EC%A0%81%5D,-1537_01_.jpg)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1537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0/%5B%EC%82%AC%ED%9A%8C%EB%B3%B5%EC%A7%80%EC%A0%95%EC%B1%85%EB%A1%A0%5D%20%EC%9E%94%EC%97%AC%EC%A0%81%5B%EB%B3%B4%EC%B6%A9%EC%A0%81%5D,-1537_02_.jpg)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1537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0/%5B%EC%82%AC%ED%9A%8C%EB%B3%B5%EC%A7%80%EC%A0%95%EC%B1%85%EB%A1%A0%5D%20%EC%9E%94%EC%97%AC%EC%A0%81%5B%EB%B3%B4%EC%B6%A9%EC%A0%81%5D,-1537_03_.jpg)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1537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0/%5B%EC%82%AC%ED%9A%8C%EB%B3%B5%EC%A7%80%EC%A0%95%EC%B1%85%EB%A1%A0%5D%20%EC%9E%94%EC%97%AC%EC%A0%81%5B%EB%B3%B4%EC%B6%A9%EC%A0%81%5D,-1537_04_.jpg)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1537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0/%5B%EC%82%AC%ED%9A%8C%EB%B3%B5%EC%A7%80%EC%A0%95%EC%B1%85%EB%A1%A0%5D%20%EC%9E%94%EC%97%AC%EC%A0%81%5B%EB%B3%B4%EC%B6%A9%EC%A0%81%5D,-1537_05_.jpg)
● 성립배경
2.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이러한 모형은 초기산업사회 및 자유주의국가에서 많이 볼 수 있따(미국, 일본)
다.
● advantage
● 성립배경
설명
● advantage
1. 잔여적[보충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예 공공부조) → 선별주의
● 모델의 기본개념(槪念)
정형화된 사회복지적인 노력과 활동들은 일시적인 위기가 지나가면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다. 즉, 사회적 안展望(전망) 의 개념(槪念)으로서 줄타기를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 environment(환경) 은 지극히 정상적이며 어쩌다 그들이 실패해서 줄에서 떨어지는 경우를 대비해서 그물을 쳐놓는다는 것이다. 잔여적 개념(槪念)에서는 사회적 의존인구들은 비정상적인 집단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서비스 대상 인구들에게는 스티그마가 작용하게 된다-시녀적 도구로 비정상적인 개인들을 치료하고 복구하는데 주된 행정적 목표들이 주어진다.
● 단점
ㆍ 잔여적 : 시장과 가족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서비스 제공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보충적], 제도적 사회복지모델의 특징 및 장단점
자유방임의 사회철학에 근거하고 있따 개인들의 욕구는 가족과 시장이라는 자연스런 제도에 의해 충족되는 것이 정상이라고 본다. 일시적으로 개인들이 이 기구로부터 욕구충족을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들에 대비해서 사회복지는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