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1 04:51
본문
Download :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hwp
마침 課題가 있은 후 할머니께서 집으로 찾아오셨다. 나는 이번 보고서를 할머니께서 말씀해주신 것들을 바탕으로 6.25전쟁에 관해 쓸 것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hwp( 38 )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ⅴ.참고문헌
.6⦁25전쟁
1. 발생원인(原因) 및 전개과정
1.전쟁 후 우리나라의 상황
ⅱ.6⦁25전쟁
①6⦁25전쟁의 발생원인(原因)(배경)
.서론
ⅲ.전쟁 후
②6⦁25전쟁의 전개 과정
한국 근현대사,나의 가족사
③6⦁25전쟁 속 우리 민족의 삶
ⅳ.結論(결론)
나는 평소 history(역사) 에 대해 관심이 없었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history(역사)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근현대사 강의를 수강했다. 처음 課題를 받았을 때 우리가족이 history(역사) 적 사건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 부터 고민을 했다. 할머니는 황해도연백에서 태어나 쭉 거기서 살아오셨다. 그러나 외할머니께서 6.25를 겪으셨다고 말씀 하셨다. 이 이야기를 듣고 나는 6.25전쟁에 대상으로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전쟁당시 시절로 돌아가 그때의 상황을 느껴 보고자했다. 부모님께 여쭈어봤지만 역시나 history(역사) 적 사건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고 하셨다. 할머니는 1936년 생으로 6.25 을 15살 때 겪으셨다고 한다. 나는 6.25전쟁에 대상으로하여 단지 북한의 남침이라는 것밖에 몰랐다.
2. 6⦁25전쟁 속 우리 할머니의 삶
1.발생Cause 및 전개과정
2.전쟁 후 우리가족의 상황
설명
①6⦁25전쟁의 발생Cause (배경)
일제강점기 중 우리나라의 운명이 바뀌기 처음 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이었다. 당시 미국은 38선을 일본군 무장해제 등 전후처리를 위한 잠정적 경계로 생각했으나 소련은 38선을 영구적 경계로 만들어 38선을 기준으로 공산주의화 하려했다.
순서
.서론 ⅱ.6⦁25전쟁 1. 발생원인 및 전개과정 ①6⦁25전쟁의 발생원인(배경) ②6⦁25전쟁의 전개 과정 ③6⦁25전쟁 속 우리 민족의 삶 2. 6⦁25전쟁 속 우리 할머니의 삶 ⅲ.전쟁 후 1.전쟁 후 우리나라의 상황 2.전쟁 후 우리가족의 상황 ⅳ.결론 ⅴ.참고문헌
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3년 11월 27일 미국⦁영국⦁중국(China) 등 3개국 정상이 참석한 카이로 회담에서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약속받게 된다 하지만 일본군 무장해제 등 전후처리를 명목으로 북위38°선을 경계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국이 주둔하게 된다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세력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주의 세력이 대치되어 양극체제로 팽팽한 힘겨루기를 하게 된다 그들 간의 심각한 이념대립 양상은 한반도에도 influence(영향)을 미치기 처음 했다.





할머니에게 6.25전쟁 때의 상황에 대해 물어보았다. 나는 우리가족과 history(역사) 는 거의 관련이 없을 거라 생각해왔다. 할머니의 말씀으로는 농사를 지어서 창고에 쌀이 많이 있었다고 하셨고 또한 연백은 교동까지 거리가 얼마 되지 않아 나룻배를 타고 자주 왕래를 했다고 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