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culture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4 23:47
본문
Download : 일본 문화론.hwp
순서
일본 culture론에 대한 글입니다.
일본 문화론에 대한 글입니다.
⑫하마구치 에, ‘日本(일본)다움의 재발견(1977)’ - 日本(일본)인의 집단주의와 수치의 文化 재검토했다.일본인론 , 일본 문화론인문사회레포트 ,
일본 culture론
Download : 일본 문화론.hwp( 39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일본인론
⑧나카네 치에, ‘종적 사회와 인간관계(1967)’ - 1960년대에 日本(일본)文化의 특징을 日本(일본)인 스스로의 손으로 본격적으로 재검토하기 처음 한다. 日本(일본)인에게는 日本(일본)인 독자의 ‘자율적’인 행동양식이 있다고 주장하고 서구 모델과의 대비가 아니라 독자적으로 日本(일본) 모델을 …(생략(省略))
설명




다.
⑨사쿠다 케이치 ‘수치의 文化 재고(1967)’ - 베네딕트의 ‘공적수치’론을 비판하면서, 수치에는 직접 타인에게 거부당하지 않더라도 타인의 특별한 주시를 받게되었을 때 느끼는 수치인 ‘사적수치’론을 주장했다. 文化와 퍼스널리티 입장의 文化론이었다. 日本(일본)인의 ‘자분(自分)’은 서양인의 자아와는 달리 그 때 마다의 상황에 응하여 스스로를 배분시키는 공유 관계의 부분이라 서술했다. 그는 인도와 日本(일본)의 사회구조를 비교하면서 장과 집단의 일체감에 의해 생겨난 日本(일본)의 사회집단을 ‘종적 사회’라 했으며 그것은 日本(일본)의 근대화에 공헌했다고 주장했다.
⑪기무라 빈, ‘사람과 사람사이(1972)’ - 서양인이 자기 안에 단호한 개인 주체의 자아를 가지고 있는데 비해 日本(일본)인은 자기자신의 존립 근거를 자기자신의 내부에 가지고 있지 않다고 서술했다.
⑩도이 타케오, ‘아마에의 구조(1971)’ - 日本(일본)인의 심리와 인간 관계의 기본에 ‘아마에’라는 것이 있는 ‘아마에’theory(이론)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