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운동과 내부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2 10:39
본문
Download : 달의 운동과 내부구조.hwp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달의 운동과 내부구조
1. 달의 탄생과 형성
2. 달의 관측
3. 달의 밝기
4. 달의 궤도
5. 달의 형상과 자전
6. 달의 온도
7. 달의 화학조성과 내부구조
8. 달의 지형과 성인(成因)
9. 지구에 미치는 effect(영향)
10. 달에 얽힌 신화와 전설
11. 달에 대한 한국의 민속
【참고 reference(자료)】
달의 관측은 그 성상(性狀)에 관한 관측과 운동에 관한 관측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성상에 관한 관측의 역싸는 3기(期)로 나눌 수 있다아 제 1 기는 태고로부터 1610년 G.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사용해 달을 관측할 때까지의 기간이다.
달의 무게중심점은 달표면형태의 중심(中心)에 있지 않고, 또 달은 완전한 구형이 아니라 요철(凹凸)이 있기 때문에, 달 테두리의 위치를 측정(measurement)하여 달의 중심을 결정하는 방법에서는 달 둘레 모양의 불규칙성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아 이상은 달이 보이는 방향에서의 2차원적 위치에 관한 것이었고, 달의 3차원적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달과 지구의 거리를 알 필요가 있다아 달과 지구의 무게중심 사이의 거리는 달과 지구의 mean or average(평균) 거리를 알면 각 순간의 값을 理論적으로 알 수 있다아 반대로 각 순간의 거리…(투비컨티뉴드 )
한국인의 우주론,세계관,인생관 및 생활습속 등에 걸쳐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달에 대하 조사하였다.달의운동과내부구조 , 달의 운동과 내부구조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Download : 달의 운동과 내부구조.hwp( 95 )
순서
달의운동과내부구조
다. 제 3 기는 1959년 루나 1 호를 처음 으로 한 탐사기를 이용한 관측시기이다.
한국인의 우주론,세계관,人生(인생)관 및 생활습속 등에 걸쳐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달에 대하 조사하였다. 제2기는 망원경을 사용해 지구에서 달을 관측하였던 기간이다. 여기서 <달의 운동>이라는 말은 달의 중심점의 운동을 의미한다. 이때까지 달의 뒷면[裏面(이면)]은 사람이 볼 수 없는 세계였다. 이 시기는 달탐사기를 달 가까이에 접근시키는 방법(루나 1 호 등), 달 표면에 충돌시키는 방법(루나 2 호·레인저계획), 달탐사기를 달 주위를 도는 손자위성(孫子衛星)으로 만들어 달 표면의 사진촬영 및 자기·중력 등을 측정(measurement)하는 방법(루나오비터계획), 달 표면에 각종 측정(measurement)기 또는 월면차(月面車)를 내려서 탐사시키는 방법(아폴로우주선·루노호트), 우주비행사를 달 표면에 착륙시켜 탐사하고 월진계(月震計) 등의 관측장치를 달표면에 설치하는 방법(아폴로우주선), 유인·무인우주선을 달 표면에 착륙시켜 달 표면 물질을 채집하여 지구로 가져와 實驗실에서 analysis·조사하는 방법(아폴로우주선) 등 일련의 다양한 계획들이 실시되었다. 한편 달의 운동에 관한 관측은 20세기 전반까지는 자오환(子午環) 등의 측정(measurement)장치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성식(星蝕)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