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이란 어떤 관념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13:45
본문
Download :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hwp
등간측정(measurement)은 명목측정(measurement)과 서열측정(measurement)이 갖는 특징을 모두 갖고 있으며 그 밖에 숫자간의 간격이 같으므로, 즉 등간격이므로 덧셈과 뺄셈과 같은 산술적 계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최빈값, 중앙값은 물론 산술mean(평균)까지 계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아 그러나 절대영이 없기 때문에 곱하기, 나누기와 같은 비율계산에는 사용될 수 없다. 왜냐하면 감성지수가 0인
Download :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hwp( 60 )
1.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의 槪念
2.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의 槪念
2.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의 관념
Ⅲ conclusion(결론)



Ⅱ 본론
1.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의 관념
Ⅲ 結論
Ⅱ 본론
Ⅳ reference
Ⅰ 서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등간측정(measurement)은 측정(measurement)대상을 특징이나 속성에 따라 서열화하는 것은 물론, 서열간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연속성상에 수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등간측정(measurement)은 서열간의 간
2.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의 槪念
다. 등간측정은 서열간의 간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이란 어떤 관념인가?
등간수준, 비율수준, 절대영, 절대영점,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
설명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순서
등간척도에는 측정대상의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절대적 영 또는 자연적 영이 존재하지 않는다.
Ⅱ 본론
1.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의 관념
Ⅰ 서론 Ⅱ 본론 1.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의 개념 2.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을 구분하는 절대영의 개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등간수준과 비율수준의 개념 등간측정은 측정대상을 특징이나 속성에 따라 서열화하는 것은 물론, 서열간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연속성상에 수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등간측정은 명목측정과 서열측정이 갖는 특징을 모두 갖고 있으며 그 밖에 숫자간의 간격이 같으므로, 즉 등간격이므로 덧셈과 뺄셈과 같은 산술적 계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최빈값, 중앙값은 물론 산술평균까지 계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성지수가 100인 학생은 50인 학생보다 두배 더 감성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대상의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영의 위치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다른 측정치보다 몇 배 많다 또는 몇 배 적다고 말할 수 없다. 즉 측정치간의 비율은 계산할 수 없다. 그러나 절대영이 없기 때문에 곱하기, 나누기와 같은 비율계산에는 사용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