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ro.kr ●마늘 > gyro7 | gyro.kr report

●마늘 > gyro7

본문 바로가기

gyro7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마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2 05:04

본문




Download : ●마늘.hwp





한국에 도입된 것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삼국유사》에 나올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도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재배 歷史(역사)가 매우 오래 된 듯하다.
비늘줄기는 연한 갈색의 껍질 같은 잎으로 싸여 있으며, 안쪽에 5∼6개의 작은 비늘줄기가 들어 있다 꽃줄기는 높이 60cm 정도이다. 후에 서역에서 톨이 굵은 대산(大蒜)이 들어오게 되어 전부터 있었던 산을 소산이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대산을 마늘, 소산을 족지, 야산을 달랑괴”로 구분하였다.…(생략(省略))




●마늘
●마늘_hwp_01.gif ●마늘_hwp_02.gif ●마늘_hwp_03.gif ●마늘_hwp_04.gif ●마늘_hwp_05.gif ●마늘_hwp_06.gif
순서
●마늘,생활전문,레포트

레포트/생활전문

설명


●마늘

다.


마늘의 전파
마늘의 재배는 고대 이집트그리스 시대부터이며, 근동방면으로부터 인도中國한국아프리카의 각지에 전파되었다. 7월에 잎 겨드랑이에서 속이 빈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1개의 큰 산형꽃이삭[傘形花穗]이 달리고 총포(總苞)는 길며 부리처럼 뾰족하다. 마늘의 어원은 몽골어 만끼르(manggir)에서 gg가 탈락된 마닐(manir) → 마ゅ → 마늘의 과정을 겪은 것으로 추론된다 《명물기략(名物紀略)》에서는 “맛이 매우 날하다 하여 맹랄(猛辣) → 마랄 → 마늘이 되었다”고 풀이하고 있다
《본초강목》에 “산에서 나는 마늘을 산산(山蒜), 들에서 나는 것을 야산, 재배한 것을 산(蒜)”이라 하였다. 아시아 서부 원산으로 각지에서 재배한다. 잎은 바소꼴로 3∼4개가 어긋나며, 잎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있어 서로 감싼다.



Download : ●마늘.hwp( 79 )




●마늘 , ●마늘생활전문레포트 , ●마늘



마늘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Allium scorodorpasum var. viviparum Regel
분 류
백합과
원산지
아시아 서부
크 기
꽃줄기 높이 60cm 정도
산(蒜)이라고도 한다.
꽃은 흰 자줏빛이 돌고 꽃 사이에 많은 무성아(無性芽)가 달리며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바깥쪽의 것이 크다. 유럽에서는 지중해 연안에 주로 분포하는데, 中國에 전파된 것은 BC 2세기경으로 지금의 이란으로부터 도입되었다고 한다. 비늘줄기, 잎, 꽃자루에서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비늘줄기를 말린 것을 대산이라 한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gyr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gyr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