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8:02
본문
Download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hwp
이 회의론을 적극적으로 수용, 극복해서 인식과 학문 일반의 가능성을 이성의 차원에서 새로이 그 확실성을 굳건한 토대위에 세운 사람이 칸트이다.
로티,라캉과,하버마스와,포스트,모던주,철학,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hwp( 77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1. 로티의 포스트 analysis(분석) 철학
1) 인식론으로서의 근?현대 철학
일반적으로 데카르트는 서양 근세 철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로크의 메타적인 analysis(분석) 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근세 철학의 주류를 인식론적으로 규정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철학의 the gist은 이성의 능력에 대한 메타적 자기 비판으로서의 인식론이고 인식론은 모든 자연 과학적 작업의 근거를 해명하는 학문이라는 의미에서 기초학이다. 이 인식의 문제를 로티는 그들의 사유의 목표(goal)로서 지식 대신 교화를 지향한다고 보았고, 이 교화적 철학은 비정상적 담화이기 일쑤이며, 이는 자기 형성, 자기 교육의 결과 를 낳는다고 생각하게 된다된다.
2) 인식론에서 해석학으로 : 교화의 철학
로티는 셸라스의 비판과 필연적 명제/우연적 명제 사이의 전통적 차별화에 대한 콰인의 비판, 쿤의 해석학적 과학 철학의 등장등이 인식론으로서의 철학적 이미지가 더 이상 지탱될 수 없음을 역설하고 있다아 이 철학에서의 중심 패러다임은 ‘정당화된 참된 믿음’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 하는 앎(인식)의 문제이다. 이제 철학은 과학의 기초라는 의미에서 과학과 구별되는 것이다. 데카르트의 이성을 모든 철학적 작업의 유일한 안내자이다는 이성적 주체, 객체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이는 ‘방법적 회의’에 대한 본유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또한 낙과론을 견지함으로서 그 결과 ‘합리론적’ 형이상학을 건설하게 된다된다.
3) 포스트 모던 부르주아 자유주의
철학자들의 철학함의 목표(goal)가 크…(To be continued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인문사회레포트 , 로티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 철학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순서
다.
이러한 경험론의 전개는 흄에 와서 우리가 경험적으로 주어진 것을 넘어서 그 이상을 인식하려고 하면 오류에 빠진다라는 회의론에 빠지게 된다된다. 근세 철학의 특징은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의 합리론의 결함을 깬 영국 경험론에서 본격적으로 개진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