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3:16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해서.hwp
이러한 약자는 이두 표기 등에도 나타나지만 구결 표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므로 구결문자라고 하는 일도 있다아구결은 주로 문법적인 관계를 표시하는 형태들로서 문법사 연구의 자료(資料)가 되고, 한자를 차용한 표기는 문자사 연구의 자료(資料)가 되므로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사회과학,한자,구결,이두,향찰,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해서.hwp( 77 )
1. 구결(口訣)
(1) ‘구결’의 定義(정의)
한문을 읽을 때 한문의 단어 또는 구절 사이에 들어가는 우리말
(2) ‘구결’의 내용
구결은 ‘토(吐)’라고도 한다. 구결을 정확히 달려면 한문 문맥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옛날 한문 학습에서는 구결을 중시하였다. 구결은 처음부터 본문의 협주로 인쇄되는 일도 있으나, 보통 인쇄된 한문의 행간에 써넣기 때문에 차용된 한자는 획수를 최소한으로 줄인 약자로 표시되었다.
그런데 1974년 ≪구역인왕경 舊譯仁王經≫ 상권의 낙장이 발견되면서, 구결에 대한 새로운 개념(槪念)이 제기되었다.”(원각경언해 첫머리)라고 한 기록이 그것을 말한다. 15세기 중엽에 “무릇 책을 읽을 때에 우리말로써 구절을 끊는 것을 세속에서 토라고 한다. 예컨대 “國之語音이 異乎中國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훈민정음)에 쓰인 ‘이·야·로·’ 등이다.”(세종실록 10년 윤4월 기해, 1428년)라고 한 것이라든지, “임금이 구결을 정하다.
한편, 구결은 유교와 불교의 경전에 대한 당대 학자들의 이해와 해석을 알려 주고 있는 점에서 유교와 불교의 歷史(역사) 연구에도 이용될 수 있다아
구결과 토를 이와 같이 해석하여 동의어로 보는 것은 전통적인 개념(槪念)이다. 이들은 대부분 조사이거나 ‘하다’·‘이다’의 활용형이다.
한문에 구결을 다는 일을 ‘구결을 달다, 토를 달다, 현토(懸吐)하다, 현결(懸訣)하다.’라고 한다.
그 묵서는 ① 행의 왼쪽에도 나타…(To be continued )
[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하여
설명
![[사회과학]%20한자%20-%20구결,%20이두,%20향찰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C%9E%90%20-%20%EA%B5%AC%EA%B2%B0,%20%EC%9D%B4%EB%91%90,%20%ED%96%A5%EC%B0%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사회과학]%20한자%20-%20구결,%20이두,%20향찰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C%9E%90%20-%20%EA%B5%AC%EA%B2%B0,%20%EC%9D%B4%EB%91%90,%20%ED%96%A5%EC%B0%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사회과학]%20한자%20-%20구결,%20이두,%20향찰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C%9E%90%20-%20%EA%B5%AC%EA%B2%B0,%20%EC%9D%B4%EB%91%90,%20%ED%96%A5%EC%B0%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사회과학]%20한자%20-%20구결,%20이두,%20향찰에%20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C%9E%90%20-%20%EA%B5%AC%EA%B2%B0,%20%EC%9D%B4%EB%91%90,%20%ED%96%A5%EC%B0%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사회과학]%20한자%20-%20구결,%20이두,%20향찰에%20대해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C%9E%90%20-%20%EA%B5%AC%EA%B2%B0,%20%EC%9D%B4%EB%91%90,%20%ED%96%A5%EC%B0%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5.gif)
![[사회과학]%20한자%20-%20구결,%20이두,%20향찰에%20대해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C%9E%90%20-%20%EA%B5%AC%EA%B2%B0,%20%EC%9D%B4%EB%91%90,%20%ED%96%A5%EC%B0%B0%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해서 , [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한자 구결 이두 향찰 대해서
[사회과학]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하여
순서
다. 하한이 14세기라고 믿어지는 이 자료(資料)에는 15세기 이후의 문헌에서 보이는 구결 표기와 비슷하게, 인쇄된 한문의 행간에 약자로 표기된 묵서(墨書)가 나타난다.
구결의 표기방법은 위의 예와 같이 한글로 하는 방법과 한자를 차용하는 방법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