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굿 자료(data)의 연구동향과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04:53
본문
Download : 풍물굿 자료의 연구현황과 전망.hwp
풍물굿 자료(data)의 연구동향과 전망
다. 마지막으로 농악은 단지 음(음)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춤, 재담, 진풀이, 즉 놀이의식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 종합적인 표현 매체로서의 관념이 되지 못한다. 작위적인 용어라 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현장에서는 농악을 지칭하는 용어로 굿, 굿물, 풍장, 풍물, 매구 등이 있는데 이들 용어는 각각 그 기능과 형태를 말해주고 있다 다음으로 농악이라는 용어는 농사꾼이 하는 음악, 즉 농사일에만 쓰이는 음악으로 인식될 소지가 있다 물론 농악이 농경사회 속에서 산출된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공동체가 존재하는 곳, 공동체적 심성이 있는 곳 어디에서나 그 가치를 발휘하고 현대 산업사회 속에서도 훌륭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일제 통치기간 동안 습득되어진 공동체 삶과 부단히 우리를 유리시키려는 개인주의적 서양 장르의 편견을 아직도 못 벗어나고 있다 그러한 조각조각의 시선들을 과…(생략(省略))






Download : 풍물굿 자료의 연구현황과 전망.hwp( 67 )
설명
풍물굿 자료의 연구현황과 전망에 대한 글입니다.
하지만 이 풍물에 마주향하여 도 여러 가지 부적한 점이 있다 ‘풍물’이라 했을 때 보통 굿물(악기)을 지칭하여 혼동되는 단점이 있으며, 현장에서 그만큼 널리 쓰이고 다양하게 쓰이는 `굿`이라는 용어보다 보다 종합적인 관념이 되지 못하기 때문일것이다 여러 현장에서 쓰여져 내려오는 의미들을 종합해 볼 때 굿이라는 용어는 공동체 성원들의 마음을 모아(의식), 공동의 관심사를 민주적으로 해결하고(논의), 그 원만한 협의의 결과를 만족하며 노는(놀이) 총체성을 가진 삶의 한 체계라는 넓은 뜻이 있으며, 그 외에도 좁은 뜻으로 삶의 여러 부분에서 다양하게 쓰여지고 있다 우리의 culture(양식)라는 것은 총체적 삶의 체계와 전혀 분리해 낼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농악이라는 용어는 그것이 지닌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수렴하는 용어로는 부적합하며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농악이라는 용어 대신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용어인 ‘풍물(풍물)’이 바로 그것이다.
순서
첫째, `농악`이라는 말은 조선시대의 지배계층과 일본의 통치적 의도에 의해 민중적 대중성이 거세되어 버린 조작된 용어이다.풍물굿자료의연구현황과전망 , 풍물굿 자료의 연구현황과 전망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풍물굿자료(data)의연구동향과전망
,인문사회,레포트
풍물굿 자료(data)의 연구동향과 전망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