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data(資料)]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21:45
본문
Download : [레포트자료]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hwp
교량에 많이 사용되는 트러스는 그림과 같으며, 이중 와렌 트러스(Warren Truss)와 프랫 트러스(Pratt Truss)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아
2) 트러스교 구조해석 가정
트러스를 사용함에 있어 여러 가지 생각해 주어야 할 내용들이 많…(skip)
[리포트data(資料)]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
Download : [레포트자료]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hwp( 39 )
순서
![[레포트자료]고체역학%20트러스교%20설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A%B3%A0%EC%B2%B4%EC%97%AD%ED%95%99%20%ED%8A%B8%EB%9F%AC%EC%8A%A4%EA%B5%90%20%EC%84%A4%EA%B3%84_hwp_01.gif)
![[레포트자료]고체역학%20트러스교%20설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A%B3%A0%EC%B2%B4%EC%97%AD%ED%95%99%20%ED%8A%B8%EB%9F%AC%EC%8A%A4%EA%B5%90%20%EC%84%A4%EA%B3%84_hwp_02.gif)
![[레포트자료]고체역학%20트러스교%20설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A%B3%A0%EC%B2%B4%EC%97%AD%ED%95%99%20%ED%8A%B8%EB%9F%AC%EC%8A%A4%EA%B5%90%20%EC%84%A4%EA%B3%84_hwp_03.gif)
![[레포트자료]고체역학%20트러스교%20설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A%B3%A0%EC%B2%B4%EC%97%AD%ED%95%99%20%ED%8A%B8%EB%9F%AC%EC%8A%A4%EA%B5%90%20%EC%84%A4%EA%B3%84_hwp_04.gif)
![[레포트자료]고체역학%20트러스교%20설계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A%B3%A0%EC%B2%B4%EC%97%AD%ED%95%99%20%ED%8A%B8%EB%9F%AC%EC%8A%A4%EA%B5%90%20%EC%84%A4%EA%B3%84_hwp_05.gif)
![[레포트자료]고체역학%20트러스교%20설계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A%B3%A0%EC%B2%B4%EC%97%AD%ED%95%99%20%ED%8A%B8%EB%9F%AC%EC%8A%A4%EA%B5%90%20%EC%84%A4%EA%B3%84_hwp_06.gif)
설명
[리포트data(資料)]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
다. 트러스교가 고안된 초기 무렵은 부재와 부재의 핀 결합이라는 theory(이론)상의 가정을 가급적 만족하도록 설계하였으나, 핀 결합된 트러스는 전체의 강성이 적으며 오랫동안 교통하중이 반복하여 작용하면 바의 구멍이 마모되기 때문에 타원형으로 넓어져서 핀 결합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내구성 면에서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아 따라서 근래에는 격점부를 용접 또는 고장력 볼트로 결합한 강결 트러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아 트러스교는 일반적으로 지간이 50∼100m 정도에 알맞은 형식으로, 비교적 작은 중량의 부재를 순차 조립하여 큰 강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외팔보 공법(Free Cantilevering Method)의 채용이 다른 형식보다 유리하며, 또한 개개 부재의 단면이 작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해협이나 산간 계곡 등에 적합한 교량이다.[레포트자료]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 , [레포트자료]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기타레포트 , 레포트자료 고체역학 트러스교 설계
레포트/기타
레포트자료,고체역학,트러스교,설계,기타,레포트
응용고체역학
タイトル(제목) : 트러스교 설계
순서
1. theory(이론)
1) 트러스교 구조
2) 트러스교 구조해석 가정
3) 트러스교 구조해석
2. 설계
1) 트러스 구조 analysis
2) 결과
3. 고찰
1. theory(이론)
1) 트러스교 구조
몇 개의 직선 부재를 한 평면 내에서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 구조로 조립한 것을 트러스(Truss)라고하며, 트러스를 이용한 교량을 트러스교라고 한다. 즉 트러스교는 곧은 부재를 부재 끝부분에서 마찰이 없는 힌지(hinge)로 결합한 삼각형의 뼈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교량에 적합한 구조물로 조립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