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특수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30 08:19
본문
Download : [법학] 특수조사.pptx
예:
(1)a.철수가 공부한다.
b.철수{는,도,만,야,부터,까지}공부한다.
…(drop)
설명
![[법학]%20특수조사_ppt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D%8A%B9%EC%88%98%EC%A1%B0%EC%82%AC_pptx_01.gif)
![[법학]%20특수조사_ppt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D%8A%B9%EC%88%98%EC%A1%B0%EC%82%AC_pptx_02.gif)
![[법학]%20특수조사_ppt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D%8A%B9%EC%88%98%EC%A1%B0%EC%82%AC_pptx_03.gif)
![[법학]%20특수조사_ppt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D%8A%B9%EC%88%98%EC%A1%B0%EC%82%AC_pptx_04.gif)
![[법학]%20특수조사_ppt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D%8A%B9%EC%88%98%EC%A1%B0%EC%82%AC_pptx_05.gif)
![[법학]%20특수조사_ppt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2%95%ED%95%99%5D%20%ED%8A%B9%EC%88%98%EC%A1%B0%EC%82%AC_pptx_06.gif)
법학,특수,법학행정,레포트
순서
Download : [법학] 특수조사.pptx( 50 )
[법학] 특수조사 , [법학] 특수조사법학행정레포트 , 법학 특수
레포트/법학행정
다.
특수조사란
_SLIDE_4_
특수조사들끼리 복합할 때,선행 또는 후행하는 배열 순위는 일정한 규칙성을 띠고 있다 ...
_SLIDE_1_
특수조사
_SLIDE_2_
목 차
1.특수조사란
2.하위분류
-체언 아래
-부사 아래
3.부사적 수식 기능
-격표지와의 복합 관계에서
-전성 과정에서
4.격의 무표지성
5. 문법 범주사의 동요
6. 참고 문헌
_SLIDE_3_
국어 문법 체계에서 굴절 접사의 하위 범주에 속해 있는 의존 형식으로서, 격에 대한 문법 기능어인 격표지(case markers)와는 확연한 이질성을 드러내는 의미 한정어이다. 명칭이 말해 주는 특수성이란 주로 의미론적, 화용론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설명(說明)될 수 있다
격 표지를 문법적인 조사(grammatical pragmaticle)라고 한다면,특수조사는 화용론적 조사(grammatical pragmaticle)라고 할 것이다.
특수조사란
_SLIDE_4_
특수조사들끼리 복합할 때,선행 또는 후행하는 배열 순위는 일정한 규칙성을 띠고 있다
분류기준
분류
특수조사
복합 배열 순위
전접 기능류
부터,까지,뿐,만.밖에
후접 기능류
(마다,마저,조차)나,든지,ㄴ들,라도,나마,야,는,도
의미 관계
‘표별’ 기능류
는,만,나,야,라도,나마
‘협수’ 기능류
도,조차,까지,마저,부터
서법적 기능
서법 기능류
야,야말로,라도,ㄴ들,나,나마,머저,조차
비서법 기능류
는,도,만,까지,부터
특수 조사의 하위 분류
1.하위분류
_SLIDE_5_
1.체언 아래
특수조사가 체언 아래에 바로 연결된 경우,표면상으로는 체언 아래 격표지가 연결되어 있는 양태와 다를 바 없다. 명칭이 말해 주는 특수성이란 주로 의미론적, 화용론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설명(說明)될 수 있다
격 표지를 문법적인 조사(grammatical pragmaticle)라고 한다면,특수조사는 화용론적 조사(grammatical pragmaticle)라고 할 것이다.[법학] 특수조사
[법학] 특수조사
_SLIDE_1_
특수조사
_SLIDE_2_
목 차
1.특수조사란
2.하위분류
-체언 아래
-부사 아래
3.부사적 수식 기능
-격표지와의 복합 관계에서
-전성 과정에서
4.격의 무표지성
5. 문법 범주사의 동요
6. 참고 문헌
_SLIDE_3_
국어 문법 체계에서 굴절 접사의 하위 범주에 속해 있는 의존 형식으로서, 격에 대한 문법 기능어인 격표지(case markers)와는 확연한 이질성을 드러내는 의미 한정어이다.
(2)a.철수가 노래를 부른다.그러나 엄밀하게 따져 모면 특수조사가 체언 아래에 바로 붙은 경우도 체언에 일단 격표지가 붙어 형성한 연용 수식구에 다시 특수조사가 연결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