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ro.kr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 gyro7 | gyro.kr report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 gyro7

본문 바로가기

gyro7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1 19:56

본문




Download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hwp




그런데 그의 아내가 너무 아름다워서 역신이 흠모하여 사람으로 변하여 몰래 가서 동침하였다.
(2) 처용가

처용가는 헌강왕 5년에 처용이 지은 8구체 향가이다. 이로 인해 나라 사람들이 처용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문에 붙여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경사스런 일을 맞았다고 하였다.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3246_01_.jpg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3246_02_.jpg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3246_03_.jpg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3246_04_.jpg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3246_05_.jpg
‘詞淸句麗’는 가사가 맑고 시구가 곱다는 뜻으로 혁련definition <균여전>제8 <역가현덕분>에 실린 최행귀의 서문에 8,9행의 당문으로 쓴 서문은 뜻이 깊고 글이 풍부하지만 11수의 노래는 가사 맑고 시구가 고와서 그가 지은 것을 사뇌라고 부른다고 나타나 있다아



‘意精於詞 故云腦’는 <균여전> 제7<가행화세분>에서 뜻이 가사보다 정교한 까닭에 ‘뇌’라고 이른다고 하였는데 이에 따른다면 ‘사뇌’는 의미가 가사보다 정교하고 치밀한 노래, 생각이 깊은 노래라는 뜻이다. 처용이 집에 돌아와서 자리에 두 사람이 누웠음을 보고 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갔다고 한다. 왕이 미모의 여자를 아내로 삼게 하고 처용을 신라에 머물게 하였고, 또 벼슬을 주었다.’라고 했다고 한다.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이러한 용어들로 볼 때 향가의 성격을 나누어 보자면 우선 뜻이 가사보다 깊고 정교한 노래, 사악함을 물리치고 바른대로 나아가기 위한 주술적 성격의 노래, 또한 대중적인 오락과 유희에 근거한 노래 등으로 나눌 수 있다아 그럼 이제부터 지금 현존하는 향가 25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향가란 사뇌가, 도솔가, 또는 자국의 노래인 신라시대 고유의 노래를 뜻하는 말이다.




제망매가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순서
(1) 서동요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는 <균여전> 제7<가행화세분>에 ‘무릇 사뇌라는 것은 세상 사람들의 놀고 즐기는 도구이다’라고 나타나 있는데 이는 향가의 쾌락적인 유희기능을 나타내고 있다아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설명
향가의 내용은 선화공주가 밤마다 몰래 서동의 방을 찾아간다는 내용인데, 이 노래가 대궐 안까지 퍼지자 왕은 마침내 공주를 멀리 귀양 보냈고, 이에 서동은 공주를 기다리다가 함께 백제로 돌아가서 그는 임금이 되었고 선화공주는 왕비가 되었다고 한다.

‘其意甚高’란 그 뜻이 높은 것을 뜻하며 경덕왕이 충담사의 향가 <찬기파랑가>에 대하여 나타낸 말이다.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分析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3) 제망매가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Ⅱ. 내용分析

Download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hwp( 42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서동요는 서동이 신라 제 26대 진평왕 때에 지은 최초의 4구체 향가이다. 처용의 노래를 들은 역신이 모습을 드러내어 ‘내가 공의 아내를 흠모하여 죄를 범했는데도 공은 화를 내지도 않으니 그 인품에 감탄하여 아름답게 여겨졌습니다.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다. 서동이 어릴 때 신라 진평왕의 셋째 달인 선화공주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사모하던 끝에 머리를 깎고 중처럼 차려입은 다음 신라의 서울로 가서 마를 성안의 아이들에게 주고 자신이 만든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따라서 <처용가>는 향가 작품 중에서도 무가로 보는 것은 역신을 달래어 쫓을 때 부르는 노래라고 볼 수 있다아 또한 처용이 가무를 통해 역귀를 쫓아냈다는 데 의거하여 역질에 걸린 아내를 구하는 의료주술의 행위로 보는 견해도 있다아





향가는 삼국시대에 발생하여 통일신라시대 때 성행하다가 고려 초기에 이르러 소멸한 한국 고유의 정형시가로서 향찰 및 이두, 곧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서 표기된 노래이다. 맹세코 지금 이후로는 공의 모습을 그린 그림만 보아도 그 집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 이러한 설화의 내용에서는 당시에 향가가 그만큼의 대중적인 기반을 가지고 있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용왕의 아들인 처용이 자기 아내를 범하는 역신을 물리치고자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gyr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gyr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