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8 06:26
본문
Download :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hwp
현재 법원의 확립된 입장이다.
그러나 대법원은 1991. 12. 10. 선고 91다8647 판결을 통하여 정리(arrangement)해고 necessity need의 인정 범위를 확장하였다. 즉 위 사건 원심이 인원정리(arrangement)의 necessity need이 있는 경우를 “근로자를 해고하지 아니하면 아니 될 긴박한 경영상 necessity need의 존재”라고 설시하고 있음에 반하여, 대법원은 이를 “해고를 하지 않으면 기업경영이 위태로울 정도의 급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의 존재”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상 보다 엄격한 경영상태의 악화, 즉 정리(arrangement)해고를 하지 아니하면 기업이 도산에 곧 이르게 될 정도의 상황까지 요구하였다.
Download :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hwp( 26 )
순서
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경영상,긴박한,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설명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 ,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경영경제레포트 , 경영상 긴박한






정리(arrangement)해고 요건으로써 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need (근로기준법)
1. 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need의 의미
대법원은, 1989. 5. 23. 선고 87다카2132 판결에서, 정리(arrangement)해고가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첫 번째 요건으로 “해고를 하지 않으면 기업경영이 위태로울 정도의 급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이 존재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즉 위 사건 원심이 인원정리(arrangement)의 necessity need이 있는 경우를 “근로자를 해고하지 아니하면 아니 될 긴박한 경영상 necessity need의 존재”라고 설시하고 있음에 반하여, 대법원은 이를 “해고를 하지 않으면 기업경영이 위태로울 정도의 급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의 존재”로 한정함으로써 표현상 보다 엄격한 경영상태의 악화, 즉 정리(arrangement)해고를 하지 아니하면 기업이 도산에 곧 이르게 될 정도의 상황까지 요구하였다.”고 설시하였다. 즉 대법원은 “정리(arrangement)해고의 한 요건인 ‘긴박한 기업경영상의 necessity need’이라는 것은 기업의 인원삭감 조치가 영업성적의 악화라는 기업의 경제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 경쟁력의 회복 내지 증강에 대처하기 위한 작업형태의 변경, 신기술의 도입이라는 기술적인 이유와 그러한 기술혁신에 따라 생기는 산업의 구조적 變化를 이유로 하여 실제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그럴 necessity need이 충분히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반드시 기업의 도산을 회피하기 위한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인원삭감이 객관적으로 보아 합리성이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긴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이 있는 것으로 넓게 보아야 한다.
기업 내의 기구 또는 직제 개편에 따라 일정한 부서가 통폐합되면서 보직의 수가 감소되거나 새로 편성된 부서의 성격상 전문기술을 요구하거나 법령상 전문자격을 가진 사람만이 근무할 수밖에 없어 종래 …(생략(省略))
다. 위 판결의 특징은 정리(arrangement)해고가 허용되는 긴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의 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는 점이다. 위 판결의 특징은 정리(arrangement)해고가 허용되는 긴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의 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대법원은 1991. 12. 10. 선고 91다86...
정리(arrangement)해고 요건으로써 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need (근로기준법)
1. 경영상의 긴박한 necessity need의 의미
대법원은, 1989. 5. 23. 선고 87다카2132 판결에서, 정리(arrangement)해고가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첫 번째 요건으로 “해고를 하지 않으면 기업경영이 위태로울 정도의 급박한 경영상의 necessity need이 존재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