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남 북한 언어의 이질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1 17:21
본문
Download : 남 북한 언어의 이질화.hwp
또한 자음글자의 이름을 ‘그, 느’와 같이 부를 수도 있음을 허용하고 있따 자모 배열의 경우에 북한은 된소리나 ‘ㅐ, ㅔ, ㅘ, ㅝ’ 등을 기본 자음에 넣음으로써 이를 남한의 사전들보다 순서적으로 훨씬 뒤에 배열하고 있따 사전 배열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차이는 ‘ㅇ’에 있따 ‘ㅇ’의 경우에 자음으로써의 기능을 가지는 종성 ‘ㅇ’와 단순히 글자의 모양을 갖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초성 ‘ㅇ’과는 구분이 된다된다. 하지만 북한은 「조선어 신철자법」 에서부터 이를 세로 정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따 기본 자모에 있어서 남한은 스물 네자를 사용하는 반면 북한은 마흔자를 사용하고 있따 북한은 모든 문자 결합을 자모로 인정하여 기본적인 문자 다음에 두 개의 기본 문자가 결합된 문자를 배열하고 있따 자모 이름의 경우에 ‘ㄱ, ㄷ, ㅅ’ 의 세 글자와 된소리 계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따 북한은 다른 글자의 이름과 보조를 맞춘다는 뜻에서 ‘기윽, 디?? 시읏’ 으로 고쳤으며 발음의 특수성에 치중을 하여 ‘된기윽’ 으로 바꾸었다.
다. 어떤 부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따라서 종성 ‘ㅇ’는 종성 ‘ㅅ’ 다음에 배열되지만 초성 ‘ㅇ’는 없는 것으로 보고 ‘야, 아’ 등이 ‘ㅑ, ㅏ’ 로 처리되어 ‘ㅉ’으로 처음 되는 말 다음에 배열되는 것이다.남 북한 언어 이질화의 실상과 그 원인, 그리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 등 이질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북한 말에서는 리듬…(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남 북한 언어의 이질화
설명






순서
Download : 남 북한 언어의 이질화.hwp( 65 )
레포트/인문사회
남 북한 언어 이질화의 실상과 그 원인(原因), 그리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 등 이질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상으로하여 다루었습니다. 리포트 작성에 여러모로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행복한 시간 되세요. 감사합니다. 리포트 작성에 여러모로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행복한 시간 되세요. 감사합니다.
2) 발음의 차이
文化(문화)어는 평양을 중심으로 하고 방언에서도 많은 말을 살려서 사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어서 현재의 남한말과 발음상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따
① 억양과 리듬
북한의 발음은 억양 부분에서 남한과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 남 북한 언어의 이질화인문사회레포트 ,
I. 서론
Ⅱ. 본론
1. 남북 언어의 이질화 실상
1) 맞춤법의 차이
2) 발음의 차이
3) 품사의 차이
4) 어휘의 차이
5) 띄어쓰기의 차이
6) 문체의 차이
7) 조사와 어미에서의 차이
8) 외래어의 차이
2. 언어 이질화의 Cause
1) 주체사상 고취와 김일성 가족의 우상화
2) 남북한 교육의 차이
3) 남한과의 差別(차별) 화
4) 두 개의 표준어(북한의 文化(문화)어와 남한의 표준어)
5) 마르크스주의
6) 文化(문화)어 운동
7) 고유어를 바탕으로 하는 단어 체계 구축
3.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극복 대안
1) 언어 통일을 위한 기구 설립
2) 어휘 순화 방법의 改善(개선)
3) 북한 언어 교육의 단계적 실시
4) 외래어 표기법의 改善(개선)
5) 남북 언어학자들의 정기적인 만남
6) 남북한 언어 각 부분의 차이점 해결
7) 기타 대안
Ⅲ. 結論
남과 북의 언어 이질화는 띄어쓰기, 어휘, 철자법 등의 거의 전 부분에 걸쳐서 나타나고 있따 물론 이질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말이다.
1) 맞춤법의 차이
남과 북의 맞춤법은 자모의 이름, 기본 자모의 수, 자모의 배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따 「한글 맞춤법」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기본 자모, 자모 이름, 자모 배열을 그대로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