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7 19:09
본문
Download : 질병관리문제.hwp
11.법정전염병 1,2,3종 구분 기준
제1종
급성 전염병으로서 신속한 방역활동전개가 요구되는 전염병.
주로 환자의 격리가 필요한 군.
제2종
급성 전염병이지만 환자격리가 불필요하거나 그 effect를 크게 기대할 수 없는 군…(skip)
Download : 질병관리문제.hwp( 71 )
질병관리문제
질병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정리하고 답안을 제시하였습니다.질병관리문제 , 질병관리문제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질병관리문제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질병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요점하고 답안을 제시하였습니다.
1.감염의 정이 및 오염과의 차이점
2.불현성 감염이란?
3.역학적인 면에서 불현성 감염을 중요시 하는 이유
4.저항력과 면역의 차이를 구분하고, 면역의 종류를 쓰시오.
5.병원체의 병인성(pathogenicity)과 독성(virulence), 감염력(infectivity)
6.질병 발생 3요소와 전염병 생성과정이 6개 요소를 연관지어 설명(說明)하시오.
7.보균자와 잠복감염(latent infection)을 설명(說明)하고 만성 보균자와 잠복감염의 차이점을 쓰시오.
8.동물 병원소 관련질환들
9.잠복기(incubation period)와 세대기(generation time)를 비교하시오.
10.국제검역질병의 격리기간
11.법정전염병 1,2,3종 구분 기준
12.전염병 유행조사 단계
13.전염병 관리의 3대 원칙
14.질병관리와 질병근절의 槪念상의 차이 비교
15.병원감염의 특징과 그 내용 설명(說明)
16.비전염성 질환이 국민보건상 큰 문제로 대두된 이유
17.비전염성 질환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현상의 설명(說明)
18.비전염성 질환의 역학적 연구의 제약점
19.Bran hypothesis
9.잠복기(incubation period)와 세대기(generation time)를 비교하시오.
잠복기 - 감염후에 자각적 혹은 타각적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
세대기 -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한 때부터
증식이 가장 활발하여 다른 숙주에 가장 전염을 많이 시킬 수 있을 때까지의 기간.
전염병 발생과정에서 잠복기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따
* 전염기간(period of communicability)
배출이 처음 되어 완전히 끝날 때까지의 시간
10.국제검역질병의 격리기간
콜레라 - 120시간
페스트,황열 - 144시간
천연두 - 336시간
다만 과거에 그 질병에 이환된 적이 있거나 예방접종을 받아서 충분한 면역을 갖고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검역대상에서 제외된다된다.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