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과 저축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20:39
본문
Download : 실업률과 저축률.pptx
자료(資料) 출처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토드 부크홀츠, 2009.9.11), 네이버지식백과사전
_SLIDE_5_
分析
_SLIDE_6_
分析 IMF사태 이전(~1997)
_SLIDE_7_
分析 IMF사태 이후(1998~2xxx)
_SLIDE_8_
分析
IMF사태 이전과 이후 저축률과 실업률의 관계는 큰 차이가 있따
IMF사태 이전에는 저축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은 낮았다.
IMF사태 이후에는 저축률이 높을수록 실업률은 높았다.
케인즈 理論 저축의 역설
저축의 역설
경제의 성장 및 생산기술의 발달로 생산자의 공급이 소비자의 수요를 초과, ‘총수요 = 총공급’이 아님을 가정함.
저축을 많이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소비가 적어진다는 것을 의미
소비가 적다면 기업의 재고 보유량 증가 및 수익성 하락, 투자활동 위축
기업의 활동이 위축되며 고용률 하락 및 실업률 증가(저축의 역설)
소비활동 권장, 초과공급분량의 해결을 위한 政府(정부)의 적극적인 수요 증대 정책 주장 …(생략(省略))
Download : 실업률과 저축률.pptx( 30 )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실업률과,저축률,경영경제,레포트
실업률과 저축률 , 실업률과 저축률경영경제레포트 , 실업률과 저축률
실업률과 저축률
실업률과 저축률






다.
순서
_SLIDE_1_
실업률과 저축률
_SLIDE_2_
실업률 & 저축률
실업률이란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실업자의 비율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x 100
저축률이란 국민총가처분소득 중 소비되지 않은 부분을 국민총가처분소득으로 나누어 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
저축률 = (소비되지않은부분/국민총가처분소득) x 100
_SLIDE_3_
저축률과 실업률의 관계는
고전학파의 理論: 저축률의 증가는 실업률의 감소를 불러온다
저축률 증가 은행의 자금확보량 증가 금리 하락 기업 투자활동 활발 고용률 증가 및 실업률 감소
_SLIDE_4_
가설 및 分析방법
귀무가설 저축률이 증가할수록 실업률은 증가할 것이다.
分析방법 1975~2011 간 각 년도별 저축률과 실업률의 수치를 SPSS 회귀分析을 통해 상관관계를 밝힌다.
대립가설 저축률이 증가할수록 실업률은 감소할 것이다.
자료(資料) 출처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죽은 경제학...
_SLIDE_1_
실업률과 저축률
_SLIDE_2_
실업률 & 저축률
실업률이란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실업자의 비율
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x 100
저축률이란 국민총가처분소득 중 소비되지 않은 부분을 국민총가처분소득으로 나누어 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
저축률 = (소비되지않은부분/국민총가처분소득) x 100
_SLIDE_3_
저축률과 실업률의 관계는
고전학파의 理論: 저축률의 증가는 실업률의 감소를 불러온다
저축률 증가 은행의 자금확보량 증가 금리 하락 기업 투자활동 활발 고용률 증가 및 실업률 감소
_SLIDE_4_
가설 및 分析방법
귀무가설 저축률이 증가할수록 실업률은 증가할 것이다.
대립가설 저축률이 증가할수록 실업률은 감소할 것이다.
分析방법 1975~2xxx 간 각 년도별 저축률과 실업률의 수치를 SPSS 회귀分析을 통해 상관관계를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