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ro.kr 구비문학과 민속 > gyro8 | gyro.kr report

구비문학과 민속 > gyro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yro8

구비문학과 민속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5:41

본문




Download : 구비문학과 민속.hwp




길주란 길한 고을 즉 길지(吉地)란 뜻이다.
충선왕(忠宣王) 2년(1310)에는 다시 제사(諸司)와 주, 군의 칭호를 고쳤는데, 부평부(富平府)로 강등하였다. 이것이 부평이란 읍호가 생긴 시초가 된다 부평이란 평야가 많다는 의미의 넓은 들이란 뜻으로 황습저지(荒濕低地)인 부평평야를 개척하여 큰 곡창지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구비문학과민속과제 , 구비문학과 민속인문사회레포트 ,
구비문학과 민속시간의 레포트(report) 로 우리집이 제사절차와 현재 살고 있는 곳의 지명由來, 그리고 1960년대와 현대(2000년)에 나타난 대중가요의 서정성 分析(분석)으로 최희준과 조PD DJ DOC의 노래의 서정을 비교하였고, 현재의 유행담으로 만득이 시리즈를 채집하였습니다.


구비문학과 민속

다.
내가 사는 동네 부개동은 1940년 명지청(明治町)이라 하였다가 1946년 1월 1일부터는 왜식동명 변경에 따라 부개동(富開洞)이 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구비문학과 민속.hwp( 79 )



,인문사회,레포트






구비문학과%20민속_hwp_01.gif 구비문학과%20민속_hwp_02.gif 구비문학과%20민속_hwp_03.gif 구비문학과%20민속_hwp_04.gif 구비문학과%20민속_hwp_05.gif 구비문학과%20민속_hwp_06.gif

구비문학과민속assignment


1. 우리 집의 제사 절차

2. 산속 : 태몽(그리고 금기)

3. 지명origin : 부평에 들러리 부개

4. 1960년대와 현대(2000년)에 나타난 대중가요의 서정

5. 유행담 : 무의식안의 욕망 표출 `만득이 시리즈`

나무가 많은 밀림 속이라 수주라 한 것이다.

4. 1960년대와 현대(2000년)에 나타난 대중가요의 서정
…(skip)
설명
순서



구비문학과 민속시간의 레포트로 우리집이 제사절차와 현재 살고 있는 곳의 지명유래, 그리고 1960년대와 현대(2000년)에 나타난 대중가요의 서정성 분석으로 최희준과 조PD DJ DOC의 노래의 서정을 비교하였고, 현재의 유행담으로 만득이 시리즈를 채집하였습니다. 부개동은 서울에서 기차를 타고 인천으로 올 때 부평이 처음 처음 하는 곳(열리는 곳)이라서 부개동이라 하였다. 수주는 고려 의종(毅宗) 4년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개칭된다 수주를 안남도호부로 고친 것은 호남지방의 안보를 위하여 만든 것을 수도 개경의 방비를 위해서 한강유역인 수주에 移設한 것이라고 할 수 있따 고종(高宗) 2년(1215)에는 안남도호부를 계양도호부로 개칭하고, 충렬왕 34년(1308)에는 계양도호부를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 개칭하였다. 충렬왕은 평소에 매사냥을 즐겨 징맹이고개(景明峴)에 국립 매방을 설치하고 계양고을에 자주 와서 수렵을 즐겼기 때문에 임금이 좋아하는 골이라 해서 길주)라 하였다.
전체 24,07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yr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