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characteristic(특성)과 change(변화)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8-07 04:59
본문
Download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hwp
다. 따라서 군총정치국은 직제상 인민무력부(성) 산하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중앙당 조직지도부 산하의 군내 당 정치기관이라 할 수 있따 군 총정치국 밑에는 군종사령부, 집단군사령부, 군단, 사단, 여단, 연대, 대대 정치부가 있고, 하부 말단 전투단위인 중대에는 당 세포비서(중대 정치지도원)로 구성되는 중대 당 세포비서 위원회가 조직되어 있따 인민군대내 모든 정치부들에는 노동당조직과 마찬가지로 조직지도부, 선전선동부, 청년사업부, 간부부, 당원 등록부, 근로 단체부, 3대 혁명소조 지도부(1933년경 해체), 3방송 및 文化(문화)기재 관리부 등 당 조직 전문부서들이 있따 그리고 연대급 이상 각 부대 당 정치 책임자는 정치위원이며 대대와 중대는 정치 지도원이다.
,자연과학,레포트
순서
Download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hwp( 62 )
I. 문제제기
Ⅱ. 북한의 선군정치의 배경
1. 선군정치의 槪念: `혁명 군사정권` 정치로의 변화
2. 선군정치의 대내외적 배경
3. 선군정치의 기능: 군부의 충성유도를 통한 군부통제
Ⅲ. 선군정치 체제의 제도적 特性
Ⅳ. 북한의 주요 군사권력기관의 역할 확대 양상
1. 북한군대의 기본 지휘·통제체계
2. 군대 당 및 정보 보위조직의 特性
3. 총정치국과 보위사령부의 역할 확대
Ⅴ. 결 론
특히 인민무력성 총정치국의 경우 그 역할과 기능은 군 당조직의 최상위에 있는 집행기관으로서 당결정심의기구인 인민군당위원회의 직접적 운영기관으로 된다 그 동안 총정치국은 중앙당조직지도1부 제 13과(인민무력부 총정치국 지도과)로부터 직접 지휘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이 북한은 군대내 노동당 정치조직과 당정치 군관들을 통하여 군대를 철저히 장악·통제하며 노동당의 정치적 수단과 도구로 이용하고 있따 북한은 군대안의 당정치…(skip)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up김정일정권정치군사체제characteristic(특성)과change(변화)전망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에 대한 글입니다.up김정일정권정치군사체제특성과변화전망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전망자연과학레포트 ,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characteristic(특성)과 change(변화)전망
김정일정권 정치군사체제 characteristic(특성)과 change(변화)전망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