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사회복지조사론] 측정(measurement)과 척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4 13:44본문
Download : 조사론8강.hwp
(2) 가장 간편한 묘사의 방법
설명
(2) 객관화와 표준화의 기능
Download : 조사론8강.hwp( 27 )
* 학습goal(목표)
[사회복지조사론] 측정(measurement)과 척도
(3) 자료(data)수집과 조직화의 기본적인 단계
측정(測定) 과 척도
- 대상의 속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를 할당하는 과정
3) 측정(測定) 이 기능
순서
- 코딩작업과 같이 자료(data)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 학습目標(목표)
-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추상적 정이 들을 현실세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자료(data)와 연계시켜주는 수단
2. 측정(measurement)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고, 측정(measurement)과정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1) 측정(測定) (measurement)의 의미
2) 측정(測定) 이 역할 및 중요성





- 이론적 모델을 현실세계와 연결하는 측정(測定) 이 규칙
- 일정한 규칙에 따라 대상에 값을 부여하는 과정
(1) 표준화된 묘사의 방법
- 측정(測定) 을 통해 경험적 검증과 일반화가 가능하다.
(4) 관념적 세계와 경험적 세계간의 교량의 역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측정(測定) 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고, 측정(測定) 과정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 숫자가 가지고 있는 속성에 의해 변수를 일정한 범주, 수준, 정보, 빈도로 기술하고, 계량화할 수 있게 한다.
- 대상이나 사건을 가장 적절하고 일관성 있게 묘사하고, 표현이나 묘사가 불가능한 것도 묘사할 수 있도록 한다.
- 사건이나 현상을 세분화시키고 통계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제공
- 특정 분석 단위에 대해 질적, 양적 값이나 수준을 결정하고 이를 규칙화하여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
1. 측정(測定)
- 연구결과를 다른 사람이 반복하고 반증할 수 있게 하고, 연구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대상의 속성에 대해 가장 간단하게 묘사해 준다.
(3) 계량화 기능
1. 측定義(정이) 개념과 수준을 숙지하고 이를 실제 조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측정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고, 측정과정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1) 일치 또는 조화의 기능
측정(measurement)과 척도
사회복지조사론,측정과 척도
측정과 척도 * 학습목표 1. 측정의 개념과 수준을 숙지하고 이를 실제 조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반복과 의사소통 기능
1. 측정(測定) 이 정이 과 수준을 숙지하고 이를 실제 조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