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의 工學적 패러다임 事例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14:32본문
Download : 2000년 이후의 공학적 패러다임 사례 조사.hwp
일단 데이터를 저장하면 삭제나 수정이 불가능한 롬(ROM)이나 삭제, 수정은 가능하지만 전원이 차단되면 모든 데이터가 사라지는 램(RAM)과 달리, 자유롭게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면서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그대로 보존되는 특징이 있따 이와 같은 USB와 플래시 메모리, 이 두 가지 요소를 결합해 하나의 제품으로 만든 것이 바로 ‘USB 플래시 드라이브(USB flash drive)’, 흔히 말하는 ‘USB 메모리’다. USB 메모리는 이전까지 이동용 저장장치의 주류를 이루던 3.5인치 플로피디스크(1.44MB)에 비하면 상당히 넉넉한 용량을 갖추고 있었으며, 물리적인 구동이 필요한 디스크가 아닌 반도체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의 내구력…(省略)
2000년 이후의 工學적 패러다임 事例 조사
2000년 이후의 工學적 패러다임 事例 조사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2000년 이후의 공학적 패러다임 사례 조사.hwp( 96 )
이후,공학적,패러다임,사례,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다. USB 메모리는 대개 손가락 하나 정도의 크기의 막대형 본체에 USB 커넥터가 노출된 형태다.
순서
2000년 이후의 공학적 패러다임 사례 조사 , 2000년 이후의 공학적 패러다임 사례 조사공학기술레포트 , 이후 공학적 패러다임 사례


작고 편리한 디지털 시대의 휴대용 저장장치
USB메모리
USB(Universal Serial Bus)란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버스(bus: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로) 규격 중 하나다. 내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칩, 그리고 커넥터와 메모리 칩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따
USB 메모리의 내부구조
USB메모리의 겉모습
USB 버스와 플래시 메모리의 적절한 만남
USB 메모리는 2000년, 이스라엘의 IT 업체인 M시스템(M-System)에서 8MB와 16MB, 그리고 32MB 용량의 제품을 내놓으면서 처음으로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USB는 컴퓨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장치를 꽂고 뺄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는 advantage(장점) 도 있따 아울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란 데이터를 저장, 보관할 수 있는 반도체의 일종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에 USB 장치를 꽂을 수 있게 됨에 따라 USB는 현재 다른 규격 버스에 비해 보급률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