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06:00본문
Download :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hwp
글 이해는 뇌에서 진행되는 사고 과정이다. 독자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글을 처리하는데, 독자의 사고 기제는 크게 감각기억, 작용기억, 장기기억으로 구성된다된다. 글은 글자, 기호, 그림, 사진, 단어, 문장등으로 이루어진 의미의 구현체이다. 작용기억은 시각기억을 통해 부호화되고(①번 화살표) 감각기억을 통과하며 해독된(②번 화살표) 글의 기호 정보가 장기기억에서 활성화 된(③번 화살표) 스키마와 통합되는 곳이다. 읽기가 글의 의미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Download :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hwp( 91 )
사고구술(think aloud)은 읽기나 쓰기, 문제해결, 수학 문제 풀기, 토론, 토의등과 같은 인지적 과업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피험자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학자들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서 공유되지 못하고 있는 듯하고 개인적으로도 낯선 定義(정의) 이라 이번 기회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언어 보고(verbal reporting), 프로토콜 分析(분석)(protocol analysis)은 사고구술과 같은 계열의 연구이다. 글과 독자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은 완전하게 해명되었다고 할 수 없지만 간단하게 구조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표현해 볼 수 있다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
기억의 스키마에 저장되었다가 활성화된 정보가 연합하는 것을 말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읽기 교육 방법에 대한 여러 理論(이론)들이 introduce되어 왔다. 또는 ’생각말하기‘ 이재호, 김성일 (1998), 「언어 이해 과定義(정의) 연구 방법」,학지사
Ⅱ.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표는 구성을 표현하고 있다 새롭게 구성된 의미는 독자가 필요로 하고 또한 의도
여러 참고 자료(資料)중 천경록(2002)의 「읽기 교육 방법과 사고구술」중심으로 요약하여 보겠다. 작용기억은 읽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순서
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할 때 구성의 실체는 실시간으로 글에서 입력된 정보와 장기
사고구술의 定義(정의) 을 기억의 기제와 관련하여 설명(說明)하면 다음과 같다. (⑤번 화살표)
1. 理論(이론)introduce -사고구술(think aloud)의 定義(정의)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다.
④
읽기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사고구술(think aloud)방법 연구
.
감각기억은 눈을 통해 들어온 정보가 잠시 머무는 곳이다. 장기 기억은 독자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지식이 일회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적 노력을 기울일 경우 장기기억에 기억 저장된다된다.
라고 옮기기도 하고, ’소리내어 말하기‘라고 옮기기도 한다. 사고구술은 ‘think aloud을 번역한 용어이다. 국어의 다른 영역에 비해 연구가 많은 편이라 현장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기반이 두터운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읽기 영역의 교육방법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찾던 중 ‘사고구술’ 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었다. ④번 화살
.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