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理論)적 기초, 교육목표(目標)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1 12:13본문
Download :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hwp
다.설명
2. 하이/스코프 program의 기본 전제
11.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problem(문제점)
유아교육과 4학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공통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서지사항
1. 하이/스코프 program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8.환경 구성
5.KDI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理論)적 기초, 교육목표(目標)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쇼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6.교수원리 및 교사의 역할
1. 하이/스코프 program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1846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C%9C%A0%EC%95%84%EA%B5%90%EC%9C%A1%EA%B3%BC%EC%A0%95%5D+%ED%95%98%EC%9D%B4%EC%8A%A4%EC%BD%94%ED%94%84+%ED%94%84%EB%A1%9C%EA%B7%B8%EB%9E%A8-1846_01_.jpg)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1846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C%9C%A0%EC%95%84%EA%B5%90%EC%9C%A1%EA%B3%BC%EC%A0%95%5D+%ED%95%98%EC%9D%B4%EC%8A%A4%EC%BD%94%ED%94%84+%ED%94%84%EB%A1%9C%EA%B7%B8%EB%9E%A8-1846_02_.jpg)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1846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C%9C%A0%EC%95%84%EA%B5%90%EC%9C%A1%EA%B3%BC%EC%A0%95%5D+%ED%95%98%EC%9D%B4%EC%8A%A4%EC%BD%94%ED%94%84+%ED%94%84%EB%A1%9C%EA%B7%B8%EB%9E%A8-1846_03_.jpg)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1846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C%9C%A0%EC%95%84%EA%B5%90%EC%9C%A1%EA%B3%BC%EC%A0%95%5D+%ED%95%98%EC%9D%B4%EC%8A%A4%EC%BD%94%ED%94%84+%ED%94%84%EB%A1%9C%EA%B7%B8%EB%9E%A8-1846_04_.jpg)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1846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409/%5B%EC%9C%A0%EC%95%84%EA%B5%90%EC%9C%A1%EA%B3%BC%EC%A0%95%5D+%ED%95%98%EC%9D%B4%EC%8A%A4%EC%BD%94%ED%94%84+%ED%94%84%EB%A1%9C%EA%B7%B8%EB%9E%A8-1846_05_.jpg)
* 다양한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Download : [유아교육과정]+하이스코프+프로그램.hwp( 56 )
9.부모 및 지history(역사) 회와의 연계
10.평가
7.일과 구성
유아교육과 4학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공통
와이카트는 1970년 이전부터 대규모 프로젝트의 계획과 수행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TDC는 새로 개발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을 시범 유아원과 초등학교에 적용한 후, 교사교육을 통해 지history(역사) 회에 보급해 나갔다. 30년간의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하이/스코프 교육과정은 발달에 적합한 유아교육 program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유아교육 program으로 하이/스코프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다.
4.하이/스코프 program의 교육목표(goal) 및 원리
순서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하이스코프,하이스코프프로그램,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목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대상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理論)적 기초, 교육목표(目標)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쇼 .
하이/스코프 모델은 1960년대 인지 지향적 교육과정(Cognitively Oriented Curriculum)으로 스타트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운영이 점차 복잡하게 되자 1970년에 독립적인 기관으로 하이/스코프 교육 연구재단(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을 창설, 피아제(Piaget)의 유아발달이론과 스밀란스키(Smilansky)의 교수방법, 브루너의 이론 등을 활용한 인지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 program의 원래 목적은 미시간 주 입실란티 지역의 저소득층 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이/스코프 교육 연구재단에서는 지금까지도 교육과정 개발, 평가 연구에 관한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1971년에는 입실란티에 교육과定義(정이) 연구개발과 교사훈련을 위한 센터(The staff Train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TDC) 및 하이/스코프 시범 유아원과 초등학교를 설립했다. 와이카트(David P.Weikart)와 동료들은 3~4세 아동의 초등학교 취학 준비를 위해 보상 program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러한 초기 프로젝트를 ‘페리 유아원 program(Perry Preschool Program)’으로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