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리와 JSA의 비교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0:56본문
Download : 쉬리와 JSA의 비교 분석.hwp
3)배경음악 비교
<이등병의 편지 - 김광석 >
집 떠나와 열차타고 훈련소로 가는 날
부모…(투비컨티뉴드 )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이를 가지고 쉬리와 비교 해 볼 때, 쉬리에서는 한석규가 이방희에게 갖는 믿음이 강한 것에 비해, JSA의 남한 군들은 북한군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 이는 구 시대 사람들이 바라보는 남과북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그 시대 사람들의 가치관을 엿 볼 수 있따
③남한군의 사격훈련의 장면에서 이병헌과 김태우가 나눈 대사(분단에 대한 시각)
->이 대사의 내용은 김태우가 북한군인 송강호와 신하균에 대한 불신을 이병헌에게 토로하는 대사이다.
쉬리1
Ⅰ.머리말
Ⅱ.쉬리와 JSA의 비교∙分析
1)쉬리의 分析
1.장면分析
2.대사分析
2)JSA의 分析
1.장면分析
2.대사分析
3)배경음악 비교
Ⅲ.마무리
2.대사分析
①장소령과 외국인 장교와의 대화(분단에 대한 시각)
->외국인 장교는 남북한의 현실을 겨울숲이라 비유하면서 그 곳에 작은 불씨 하나만 떨어져도 삽시간에 모두 탈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이는 외국인 장교가 한반도의 정세를 극단적인 대치상황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따 즉 남과북이 아닌 제3국가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남북한의 대치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겠다.
②한국장교와 장소령의 대화(분단에 대한 시각)
->한국장교는 장소령에게 빨갱이와 빨갱이의 적 밖에 없다고 이야기를 한다.쉬리1 , 쉬리와 JSA의 비교 분석기타레포트 ,
Download : 쉬리와 JSA의 비교 분석.hwp( 19 )
레포트/기타
설명
순서
쉬리와 JSA의 비교 analysis
,기타,레포트






다.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④수혁이 사용하는 말의 일부가 오중사의 말을 똑같이 사용하고 있는 대사
->수혁은 오중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진정으로 마음을 열수 있었고 자신도 모르게 그에게 다가갈수 있었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는 아직 남한군이 북한군을 믿는 정도가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따 이를 극명하게 표현해 주는 것은 이병헌의 대사인데, ‘결국 우리는 적이다’라는 것이다.
이 부분과 쉬리의 위에서 이야기 했던 부분과 많이 흡사한 부분을 볼 수 있는데, 이 두영화에서 우리가 알 수 있었던 것은 남과 북의 신뢰 회복이 가장 중요한 문제가 아닐까 한다. 물론 후반부의 이병헌과 김태우가 북한군과 서로 총을 겨눈 장면에서의 대화도 위의 대사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런 단순 비교는 많은 무리가 있을 것이라는 것은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