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출산의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2 16:58
본문
Download : 한국의 출산의례.hwp
이 무렵 배꼽이 떨어진다. 이때부터 모든 부정이 가시었다 해서 금줄을 걷어 대문 한 쪽 귀퉁이에 매달아 두고 친척과 이웃에게 아기를 보인다. 묶어 두었던 한 쪽 팔을 풀어서 자유스럽게 해준다. 가족들이 아기를 첫 대면하는 날이기도 하다.
출산의례






다.한국의 출산의례
설명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순서
차 례
제1장 서 론
제2장 본 론
Ⅰ. 기자의례
1. 기자의례의 定義(정이)
2. 기자 의례의 origin
3. 기자의례의 유형
Ⅱ. 산전의례
1. 태몽
2. 태교
Ⅲ. 산후의례
1. 해산
2. 산후처리
3. 산후금기
Ⅳ. 육아의례
1. 이름 짓기
2. 성장의례
3. 수유태도와 육아지침
4. 아기놀이
제3장 결 론
나. 이레
출생 이후 처음 맞는 의례는 첫이레다. 세 이레째 되는 날도 삼신상을 차리는 것은 마찬가지고 아기에게 위아래 옷을 구분해서 입힌다.출산의례 , 한국의 출산의례기타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출산의례.hwp( 86 )
한국의 기자의례, 산후의례, 육아의례 등 출산의례에 관해 정리(整理) 한 입니다. 이 무렵 쌀깃(배내옷)을 벗기고 깃 없는 옷을 입힌다. 떨어진 배꼽은 횃대에 매어 두었다가 경기가 났을 때 가루를 내어 먹이면 낫는다고 한다. 이날 아침에는 방의 윗목에 삼신상을 차리고 밥을 올렸다가 산모가 먹는다. 이날 석양에 빨래를 하지 않는 금기도 있따 김용덕, 한국의 풍속사Ⅰ, 밀알, p.166
새 포대기를 갈아주고 다시 7일이 지나면 두 이레가 된다 역시 삼신상을 차렸다가 산모가 먹으며 아기의 두 손을 풀어 자유롭게 해준다. 최인학외 공저, 한국민속학 새로 읽기, 민속원, p.200
산모는 삼칠일이 지나야 하루 6회 먹던…(省略)
한국의 기자의례, 산후의례, 육아의례 등 출산의례에 관해 정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