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행정상 손해배상제도와 손실보상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6 18:27본문
Download : 행정상손해배상제도와손실보상제도의구별.hwp
①손해배상은 공무원이 직무상 불법행위를 하거나 또는 영조물 설치-관리상의 하자가 발생한 경우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배상하는 것을 말하며, ②손실보상이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적법한 행위로 인하여 특별한 희생이 발생한 경우에 공평하게 부담한다는 원칙에 근거하여 조절적으로 전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대상]
1.의의
1. 의의
(5) 구상권





행정상 손해배상제도와 손실보상제도를 따로 정리(整理) 하고
좋은성적도 받았구요
[이용대상]
2) 배상범위
1) 행정절차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5)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4) 손해배상책임의 내용
(2) 손해배상책임의 성질
4. 손실보상청구권
②손해배상심의회
1.의의
③ 손해배상의 심의, 결정절차
2. 손실보상제도의 특징
비교적 많은 양이니
2) 자기책임설
(5) 구상권
3) 손해배상청구권의 양도, 압류금지
3) 절충설
(4) 손해배상책임자 및 손해배상액
1) 의의
5.손실보상의 내용
(1) 의의
3. 행정상 손해배상과의 관계
1) 배상책임자
1. 의의
(6)손해배상의 청구절차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집행행위로 인하여 개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그 손해를 배상하는 것을 말한다(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손해배상, 손실보상, 생황보상, 부대적손실보상, 공권적침해, 손해전보, 사후적 권리구제, 공무원의 위법한 ,
4) 판례
3.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 공무원의 선임감독자와 비용부담자가 다른 경우의 구상
(1) 의의
(1) 의의
- 이중배상금지
2. 구별
Download : 행정상손해배상제도와손실보상제도의구별.hwp( 39 )
1. 의의
(1) 이론적 근거
Ⅰ. 행정상 손해전보(사후적 권리구제)
4. 영조물의 설치, 관리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2) 사법절차에 의한 손해배상청구
Ⅳ. 행정상 손해배상 VS 행정상 손실보상
Ⅱ. 행정상 손해배상
(3) 관계
① 임의적 결정전치주의
④ 결정이 효력
(2)손실보상의 기준
(1)손실보상의 기준에 관한 학설
1. 종래
Ⅰ. 행정상 손해전보(사후적 권리구제)
(3) 손실보상의 종류
4) 손해배상청구권의 제한
사후적 권리구제인 손해전보란 손해배상과 손실보상을 의미한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와 전형적인 손해전보제도와 달리 논의되는 것들이 있는데, 그 예로는 수용유사적 침해, 수용적 침해, 희생보상청구권 및 결課題거청구권이 있다
다.
- 공무원에 대한 구상
행정상 손해배상과 행정상 손실보상의 구별은 손해 또는 손실의 발생原因행위의 성질에 따른 것으로, 전자는 위법한 행위에 의하여 발생한 손해를 전보하여 주는 것이고, 후자는 적법한 행위에 의하여 발생한 특별한 손실을 전보하여 주는 것이다. 좋은성적도 받았구요 비교적 많은 양이니 필요하신 부분만 발췌해서 쓰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손실보상청구권의 성질
[법] 행정상 손해배상제도와 손실보상제도
1) 대위책임설
(2) 차이점
2) 현재의 판례
순서
(2) 손해배상책임의 성질 및 선택적 청구권
2) 행사
(1) 공통점
2. 구별의 상대화
2. 우리나라의 국가배상제도
1) 종래의 판례
2. 우리나라의 국가배상제도
행정상 손해배상제도와 손실보상제도를 따로 정리하고 또 행정상 손해배상 VS 행정상 손실보상 을 비교하여 차이점도 기술하였습니다.
Ⅱ. 행정상 손해배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손실보상의 결정방법 및 불복절차
행정상 손해배상이란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집행행위 또는 국가나 공공단체의 공공영조물의 설치 또는 관리의 하자로 인하여 개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 국가나 공공단체가 그 손해를 배상하는 것을 말한다(헌법 제29조 제1항, 국가배상법 제2, 5조).
3. 행정상의 손실보상의 근거
(2) 실정법적 근거
3.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또 행정상 손해배상 VS 행정상 손실보상 을 비교하여 차이점도 기술하였습니다.
(6) 손해배상의 청구절차
(3) 손해배상책임의 요건
설명
(3) 손해배상책임의 요건
필요하신 부분만 발췌해서 쓰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자료를 검토하여 꼼꼼하게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2) 손실보상청구권의 성립요건
2. 구별
Ⅲ. 행정상 손실보상
- 제한
국가배상법은 헌법 제29조에서 일반적으로 규정한 국가 또는 공공단체의 배상책임의 실시를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서 공무원의 위범한 직무행위로 인한 배상(국가배상법 제2조), 공공영조물의 설치, 관리의 하자로 인한 배상(동법 제5조)에 관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잇다. 여러자료(資料)를 검토하여 꼼꼼하게 작성한 report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