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주의와 文化(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3 12:53본문
Download : 맑스주의와 문화.hwp
그러나 토대와 상부구조의 도식은 아무리 많은 단서를 단다 해도 결국은 기계론적이고 경제결정론적인 상부구조 해석으로 흐르기 쉽기 때문이…(To be continued )
Download : 맑스주의와 문화.hwp( 42 )
맑스주의의 특징과 관련 文化(culture) 에 대상으로하여 정리(整理) 하였습니다.
맑스주의의 특징과 관련 문화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文化를 본격적으로 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文化 현상의 자율성(상대적이든 아니든 간에)과 고유성을 인정해야만 한다. 하지만, 역싸적 유물론의 틀을 고수하는 한, 맑스와 엥겔스가 이러한 혐의를 완전히 벗기는 어려운 일이다.맑스주의와문화 , 맑스주의와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1. 서론
2. 이데올로기로서의 文化: 맑스, 엥겔스의 文化론
3. 조작과 순응: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文化적 비관주의
4. 대안적 모색: 그람시 헤게모니론의 확대
5. 맺음말
2. 이데올로기로서의 文化: 맑스, 엥겔스의 文化론
2-1. 맑스와 엥겔스의 고전적 맑스주의는 한마디로 현대 사회의 文化 논의에 무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맑스주의와 文化(culture)
맑스주의와文化(culture)
다. 왜냐하면 맑스의 고전적 도식에 따르면, 文化란 경제적 토대에 의해 결정되는 상부 구조에 속하는 것으로서, 이데올로기(=허위 의식)의 한 형태에 불과하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하의 지배적인 문학과 예술, 사상은 지배 계급(자본가 계급)의 이해 관계를 반영하는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이고, 결국 진정한 文化는 사회주의 사회구성체의 도래를 기다려야만 하는 것이 된다
물론 이는 맑스와 엥겔스의 文化관에 대한 다소 지나친 도식화이며, 반(反)맑스주의자들이 즐겨하는 맑스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