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ro.kr 한국어의 AgrP와 NegP > gyro5 | gyro.kr report

한국어의 AgrP와 NegP > gyro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gyro5

한국어의 AgrP와 NegP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8:52

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AgrP와 NegP_2071984.hwp




이를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한국어에서 ‘아무도’와 같은 부정 극어가 주어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반드시 NegP가 존재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인지에 대상으로하여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따 물론 ‘아무도’가 주어 위치에 있을 때, 이는 Neg 요소인 ‘안(아니)’에 의해 성분(成分)통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따 하지만 주어 …(생략(省略))
한국어의 AgrP와 NegP 에 대한 내용 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한국어의%20AgrP와%20NegP_2071984_hwp_01.gif 한국어의%20AgrP와%20NegP_2071984_hwp_02.gif 한국어의%20AgrP와%20NegP_2071984_hwp_03.gif

Download : 한국어의 AgrP와 NegP_2071984.hwp( 21 )


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3 , 한국어의 AgrP와 NegP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13


NegP에 대한 논거를 검토하고 있따 주로 NegP를 찬성하는 논거만을 紹介 검토하고 이들의 문제가되는점 을 지적하여 한국어에서는 NegP를 설정하지 말아야 함을 주장하는 방향으로 논지가 정리(arrangement)되고 있따
1. NegP를 뒷받침하는 증거
1.1. 부정 극어 허가(Negative Polarity Item Licensing)
‘아무도’는 반드시 부정소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부정 극어(negative polarity item)이다.
나. [철수가 책을 사지 않]고 [영희가 공책을 사지 않]았다. 그런데 ‘아무도’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인 ‘anyone`은 주어 위치에 나타날 수 없음에 비해 한국어의 ’아무도‘는 주어 위치에 나타날 수 있따 윤종열(1990), 안희돈(1991)등은 이러한 이유를 NegP가 주어 위치를 포함하는 성분(成分)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따 즉 주어 위치가 Neg의 작용역(scope) 안에 있기 때문에 주어 위치에도 부정극어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리고 그 부정어는 부정 극어를 성분(成分)통어 해야 한다.
1.2. NegP의 접속
윤정미는 (1가)는 Neg 요소가 양쪽의 접속 요소에 모두 걸리는 문장으로서 Neg 요소가 문장의 다른 요소들과 분리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1나)는 그러한 Neg 요소가 포함된 성분(成分)의 접속이 가능함을 보여주므로 이러한 성분(成分)을 NegP로 간주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따

(1) 가. [철수가 책을 사]고 [영희가 공책을 사지] 않았다.

한국어의 AgrP와 NegP




한국어의 AgrP와 NegP 에 대한 내용 입니다.

2. NegP 논거 검토
2.1. 부정 극어 관련 논거
부정 극어의 허가 조건을 살펴보면, 먼저 부정어가 있어야 한다.
전체 24,24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gyr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